"증시 변동성 다시 확대.. 반등 가능성 남아있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 대우증권 - 숲 전체가 흔들리는 것은 아니다
최근 약세에도 불구하고 한국 증시의 고점대비 조정의 폭은 글로벌 증시에 비해 비교적 양호한 수준이다.
글로벌 증시 역시 유사한 수준을 보이고 있다.
FRB가 모기지 채권이 아닌 국채에 대한 매입의사를 밝힌 것은 부동산을 포함한 포괄적인 디플레이션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한 의도로 분석된다.
경기둔화 폭이 크지 않고, 정책당국이 경기부양 의지를 보인 만큼 시장 전체적인 측면에서 하락 추세로의 전환 가능성은 높지 않다.
그동안 국내 증시를 이끌었던 IT섹터가 약세를 지속하면서 체감 지수는 크게 부진했다.
낙폭과대를 감안하면 반등 가능성도 열려 있다.
하지만 수출 모멘텀 둔화와 외국
인 수급부진을 감안하면 회복과정에서의 진통도 클 전망이다.
내수주의 비중을 확대하는 전략이 바람직하다.
◇ 한국투자증권 - 디플레 vs. 인플레 : 제 2의 일본이 아닌 이유?
미국 FRB는 미국이 '일본식의 물가 정체(Japanese-style price stasis)'에 직면할 가능성이 있다는 의견을 공식적으로 피력했다.
채권 수익률은 저점을 갱신하며 빠른 속도로 떨어지고 있다.
그러나 미국 국채 10년물은 일본 국채 10년물에 비해 아직 1.7%P 정도 높다.
중앙은행은 물가가 계속 떨어지게 내버려 두지 않을 것이고 부채를 줄여야 하는 정부 입장에서도 인플레이션은 정치적으로 편한 선택지가 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디플레이션 측과 인플레이션 측이 유일하게 합의를 본 부분은 현재 국채 가격이 적절치 않다는 것 뿐이다.
그것이 '지나친 저평가(great bargain)'든 '지나친 고평가(great rip-off)'든 논쟁은 아직 끝나지 않은 것으로 본다.
◇ 삼성증권 - 움츠러들기 보다는 기회를 모색할 때
금융 위기 이후 글로벌 증시간 높아진 상관관계를 염두에 둔다면 향후 국내 증시에 미치는 대외 변수의 영향력이 다시 커질 수 있다.
G2 리스크, 이번엔 정책이 아닌 경기가 문제다.
미국, 기업이익의 증가가 고용과 소비로 이어지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할 전망이다.
중국 경제지표 둔화는 정책적인 속도조절의 영향이 크다.
소비 보조금 정책과 최저 임금제 개선 가능성을 감안하면 성장세가 유지될 가능성이 있다.
실적 발표 이후 뚜렷한 모멘텀이 없어 지지부진한 주가흐름은 지속될 것이지만 단기 기술적 반등을 노려볼 만 하다.
◇ 우리투자증권 - 다시 높아진 변동성, 위기인가 기회인가?
경제전망에 대한 투자자들의 신뢰감 회복이 여전히 요원하고, FRB의 경기인식에 비해 심리적인 안정감을 줄 수 있는 +α가 없는 상황이다.
주식시장 측면에서는 낙폭과대에 따른 가격메리트가 희석된 상황에서 향후 경기에 대한 심리적인 안정감이 절실하게 필요한 시점이다.
최근 경기둔화는 정부부문에서 민간부문으로 경기의 주도권이 넘어가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일시적인 조정과정일 가능성이 높다.
밸류에이션과 낮은 글로벌 경제의 더블딥 가능성, 국내경기 흐름이 양호하다는 점, 연기금 매수세 등을 감안하면 반등 가능성도 높아 보인다.
채주연기자 jychae@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