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씨티은행은 하영구 행장 등 임직원이 참석한 가운데 서울 청계광장에서 시민들에게 수박을 나눠주는 중복 맞이 행사를 개최했습니다.
씨티은행은 또 전국 지점 방문 고객에게 컵수박을 증정하고 외화현찰 구입 고객에게 1인당 미화1천불 상당액까지 100% 환율우대 혜택을 제공했습니다.
신은서기자 esshin@wowtv.co.kr
지난해 퇴직연금 적립금이 역대 최대 규모인 381조원을 기록했다. 이중 원금과 이자가 보장되는 금융상품(원리금보장형)에 투자하는 경우가 80%를 넘었다. 이자 부담이 큰 대출 대신 노후를 위해 쌓아둔 퇴직연금을 중도에 헐어 집 장만에 나선 경우도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통계청이 16일 발표한 '2023년 퇴직연금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퇴직연금 적립금은 381조원으로 전년 대비 13.9% 증가했다. 2015년 통계 작성 이래 최대 액수다. 두 자릿수 증가율도 이어졌다.퇴직연금 도입 사업장은 43만6535개로 전년(43만6348개)과 유사한 수준이었다. 퇴직연금 가입 근로자는 714만4000명으로 2.8% 증가했다. 절대 숫자는 늘었지만, 도입률(26.4%)과 가입률(53.0%)은 각각 0.4%포인트, 0.2%포인트 감소했다.종류별로는 확정급여형(DB·53.7%) 비중이 가장 컸다. DB형은 가입자의 퇴직급여 수준이 사전에 확정되고, 사용자가 적립금 운용의 주체가 되는 제도다. 가입자 본인이 적립금을 직접 운용하는 확정기여형(DC)이 25.9%, 개인형 퇴직연금(IRP)이 20.0% 비중을 차지했다. 1년 전가 비교해 DB형은 3.6%포인트 감소한 반면 DC형과 IRP는 각각 1.0%포인트, 2.6%포인트 증가했다.적립금 운용방식별로 보면 원리금보장형(80.4%)이 압도적 비중을 차지했다. 기대 수익률이 낮은 원리금보장형에 퇴직연금을 사실상 방치하고 있는 것이다. 원리금보장형보다 기대 수익률이 높은 실적배당형은 12.8%에 그쳤다. 다만 1년 전과 비교하면 원리금보장형 비중은 5.1%포인트 감소하고, 실적배당형은 1.6%포인트 확대됐다.퇴직연금 중도 인출자는 지난해 5만명에서 6만4000명으로 28.1% 증가했다. 중도 인출액은 1조7000억원에서 2조4000억원으로 40.0% 늘
블랭크코퍼레이션의 뷰티 자회사인 엔비엘케이가 운영하는 브랜드 '지샌달'의 제품이 대만에서 품절 사태를 빚으며 인기를 끌고 있다.16일 엔비엘케이에 따르면 대만 인플루언서를 통해 지난 10월과 11월 두 차례에 걸쳐 사흘씩 세라믹 슬릭 세럼&크림 세트의 공동구매를 진행한 결과 1차 매출 1억7000만원, 2차 3억4300만원으로 총 5억원 이상의 매출을 올렸다.엔비엘케이 관계자는 "1차 공동구매 이후 2차 문의가 빗발쳐 2차 공동구매 일정을 앞당겨 진행했다"며 "대만 공동구매의 폭발적인 판매로 제품이 품절되자 한국에서도 품절사태가 빚어졌다"고 했다.지샌달의 세라믹 슬릭 세럼과 크림은 스피큘 원료에 모공 축소, 재생을 돕는 유효물질인 펩타이드를 화학적으로 결합한 특허 성분을 함유한 것이 특징이다. 이를 통해 펩타이드의 피부 흡수율을 60배 이상 높였다는 게 회사측의 설명이다.지샌달 세라믹 슬릭 세럼&크림 세트 가격은 15만원으로 기존 K뷰티 제품과 달리 가격대가 높은 편이다. 엔비엘케이 관계자는 "동양적인 브랜드 콘셉트과 임상을 통해 입증한 제품 효과 덕분에 고가임에도 잘 팔린 것으로 분석된다"며 "중저가 제품 중심의 K뷰티 열풍 속에서 고가 브랜드의 가능성을 보여준 제품"이라고 말했다.지샌달은 대만을 시작으로 홍콩,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등에도 진출하는 등 해외 시장 공략을 강화할 방침이다.전설리 기자 sljun@hankyung.com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과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은 딥테크 특구기업 육성 및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6일 밝혔다.이번 협약은 각 기관이 가진 역량과 자원을 협력하여 대기업·공공기관 등과 딥테크 특구기업을 연결하겟다는 취지다. 이를 통해 특구기업의 스케일업(Scale-up)과 상생협력의 기술산업화 생태계를 조성하고자 추진됐다.주요 협약 내용으로 상생협력재단은 △ 대기업·공공기관 네트워크, 인프라 등 정보 공유 및 대중소기업 파트너십 구축지원, △ 대기업·공공기관과 특구기업 간 상생협력형 기술혁신 및 기술개발 등 지원 △ 대기업·공공기관과 특구기업의 동반진출 지원을 통한 공동 마케팅 및 국내외 판로개척 등을 지원한다.특구재단은 △ 국가전략기술 및 딥테크 특구기업 발굴 및 공공기술 매칭 지원, △ 연구개발특구육성사업 및 특구펀드 연계 등 기술사업화 및 기업성장지원, △연구소기업, 첨단기술기업 및 연구개발특구 규제샌드박스 제도 등을 중점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두 기관은 특구기업의 기술보호역량 강화 및 기술유출방지 등 대·중소기업 간 공정거래환경 조성에도 긴밀히 협력하며, 대·중소기업의 동반성장을 위한 협력 프로그램·행사 공동 개최 및 사업·제도 연계 등 다각적으로 협력해 나갈 예정이다.원종환 기자 won040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