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은 어제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작년 같은 기간보다 7.2%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민간소비와 수출,설비투자가 모두 큰 폭으로 늘어난 덕택이다. 이에따라 1분기(8.1%)와 합친 상반기 경제성장률은 7.6%로 10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한은은 우리 경제가 글로벌 금융위기 전 수준을 회복한 데 이어 확장 국면에 진입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해석했다.

반가운 소식임에 틀림없다. 하지만 저소득층과 중소기업들로 눈을 돌려보면 답답하기만 하다. 이들은 생활 형편이 별로 나아지지 않았다고 호소하고 있다. 경기회복의 혜택이 골고루 퍼지지 못하고 있는 탓이다. 취약계층이 느끼는 상대적 박탈감은 이미 사회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청년층을 위한 일자리 부족이 심각한 상황이다. 지난 6월 고용동향에서도 청년 백수는 35만5000명,실업률은 8.3%에 달해 전혀 개선될 기미를 보이지 않았다. 일자리를 구하기도 어렵고 힘겹게 얻은 일자리도 대우가 상대적으로 열악한 임시직 · 일용직인 경우가 많았다.

게다가 하반기에는 성장세가 둔화(鈍化)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빠른 성장에도 일자리가 늘지 않는 마당에 속도까지 떨어진다면 자연스런 취업 증가는 기대하기 어렵다는 얘기다. 정부는 이달중 청년고용 종합대책을 마련하겠다고 했지만 아직은 감감무소식이다.

하루빨리 특단의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 젊은이들이 일자리 없이 방황하는 한 한국경제의 미래는 기약하기 어렵다. 일자리는 기업이 만드는 것이어서 정부가 늘리라고 강요하는 것은 쉽지 않은 게 사실이다. 하지만 기업이 일자리를 늘리지 못하는 제도적 장애물이 있는지, 일자리의 보고라는 서비스업의 획기적인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인지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청년 실업난의 실태를 정확하게 파악해야만 맞춤형 고용전략을 마련할 수 있다. 국내에 일자리가 없다면 해외취업을 장려하는 대책도 필요하다. 젊은이들도 해외에서라도 탈출구를 찾겠다는 도전정신을 가져야 한다. 눈높이를 낮추고 힘든 일도 마다하지 않겠다는 각오가 필요한 것은 물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