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2 경기둔화 문제로 본 다시 확산되는 '비관론의 오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올 2분기 실적이 발표되는 어닝 시즌을 맞고 있다.
하지만 지난 주말 미국을 비롯한 글로벌 주가는 지표부진과 갑자기 불거진 G2 경기우려로 주춤거리고 있다.
현재 증시는 증시기초여건에 의해 좌우되는 '펀더멘털 장세'다. 기업실적도 중요하지만 시장참여자들의 관심은 경기 앞날에 더 쏠려있고, 이를 확인시켜줄 수 있는 경제지표가 발표될 때마다 그 결과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이 요즘 증시의 분위기다.
그 중에서도 지금까지 국가에 의해 주도된 경기회복세가 민간 자율적으로 이어받을 수 있느냐 하는 점에 예의 주시해 바라보고 있다.
여러 판단지표가 있으나 경기선행지수가 상승세로 돌아선 이후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경기후행지수가 고개를 들어야 이 관계가 확인되면서 주가 상승세가 이어질 수 있다.
지난해 4월 이후 주가가 비교적 좋은 흐름이 전개됐던 것은 경기선행지수가 회복세로 돌아섰기 때문이다.
글로벌 증시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경제협력기구(OECD)의 복합선행지수(CLI)는 올 초까지 상승세가 유지됐다.
경기선행지수가 고개를 들면 3~6개월 후에는 경기동행지수가, 그 후 3~6개월 이후에는 경기후행지수가 개선되는 것이 일반적인 경로다.
이 경로대로라면 올 상반기는 경기후행지수가 개선되느냐 여부를 투자자를 비롯한 모든 경제주체들이 지켜봤던 일종의 '탐색기'라 볼 수 있다.
이제 이 기간이 거의 마무리되는 시기에서 경기후행지수가 기대만큼 개선되지 않고 있다.
지속 여부에 있어서는 좀 더 지켜봐야겠지만 한국 등 일부 국가만이 개선되는 정도다.
오히려 경기선행지수마저 하락세로 돌아선지 벌써 5개월째 접어들었다.
경기선행지수에서 경기후행지수로 이행되는 과정에서 그 기간이 지연되니 그동안 주가를 끌어올렸던 경기선행지수가 힘을 잃어가고 있는 셈이다.
이 상황에서 경제지표가 조금만 부진하게 나오면 곧바로 '더블 딥' 우려가 고개를 들 수밖에 없다.
더욱이 최근 들어 세계경제 양대 중심축인 미국과 중국의 소위 G2 경기둔화 조짐이 일어날 때에는 그 우려가 증폭된다.
정도 차가 있으나 1년을 주기로 상승과 하락 국면이 반복되는 OECD의 CLI 성격상 올 연말이 다가갈수록 증시가 상승세로 돌아설 가능성이 있다.
올 연말에 주가를 좋게 보는 것은 이 요인에 기대를 걸고 있는 사람들의 시각이다.
하지만 이제는 인위적으로 경기를 부양할 수 있는 정책수단이 적어졌고, 이번처럼 경기후행지수 개선이 완전치 못한 상황에서는 경기선행지수가 재상승 국면에 진입한다 하더라도 그 폭은 크지 않을 것이라는 점이다.
하반기 이후 증시의 최대 버팀목이 될 경기후행지수의 대표변수인 고용지표도 갈수록 독립변수의 성격이 강해지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큰 폭으로 개선되기는 어려운 여건이다.
수확체증의 법칙이 적용돼 고용창출계수가 낮은 정보기술(IT)과 같은 산업의 비중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 현실에서는 고용지표가 경기와 따로 노는 정도가 더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주요 예측기관들이 앞으로 세계경기가 최근 우려대로 '더블 딥' 국면을 피해간다 하더라도 회복세가 더딜 것으로 보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분명한 것은 개별국 차원에서는 모르더라도 지금 당장 세계경기는 출구전략이 논의가 될 만큼 회복국면에 놓여 있다는 점이다.
그런 만큼 현 시점에서 더 염려되는 것은 투자자들의 심리와 금융의 네트워킹 효과다.
이번 위기를 거치면서 경기와 주가를 결정하는데 이 두 요소의 힘이 더 커졌다.
조금만 호재가 나오면 네트워크를 타고 번져 곧바로 낙관론으로 격상되고, 반대로 악재가 나오면 순식간에 비관론으로 전환된다.
위험을 선호하는 사람보다 기피하는 사람이 많은 투자 세계에 있어서는 일단 비관론이 고개를 들면 극단적인 비관론으로 진화되기도 한다.
올 상반기 주가 변동성이 커진 것도 이 두 요인이 크게 작용했다.
낙관론과 비관론이 순식간에 바뀌는 여건에서는 특정국의 경기와 주가 등 각종 가격변수 흐름은 진폭이 커지고 주기가 짧아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예측기관들의 예측력이 떨어지고 경제주체들이 각종 계획을 세우기가 어려워졌다는 것도 이런 연유에 기인한다.
현 시점에서 가장 우려되는 것은 '낙관론의 위기'(crisis of optimism) 뒤에 이어지는 '비관론의 오류'(error of pessimism)에 빠지지 않을까 하는 점이다.
미국의 저명한 경기 예측론자인 웨슬리 미첼은 "그릇된 낙관론이 위기에 봉착하면 흔적도 없이 사라진다. 더 문제인 것은 이 과정에서 그릇된 비관론이 태어난다는 점이다. 새로 탄생된 오류는 신생아가 아니라 거인의 위력을 발휘한다. 이 때문에 그동안 낙관론에 흥분한 사람들은 이번에는 또 다른 흥분상태로 비관론에 쉽게 빠져든다"고 지적했다.
가변성이 큰 심리요인과 갈수록 발전되는 네트워크 사회에서는 '긍(肯)'과 '부(否)', '부(浮·부상)'와 '침(沈·침체)'이 겹치는 최근과 같은 현실은 더 심화될 가능성이 높다.
이럴 때일수록 모든 경제주체들인 기본, 특히 투자자들은 증시기초여건에 충실해야 한다.
부화뇌동할수록 투자결과는 안 좋고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면서 경기까지 빨리 침체시킨다.
경기와 증시는 그 나라 국민과 투자자들이 궁극적으로 만드는 것이라는 격언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기가 바로 올 하반기 이후 글로벌 증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