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4년간 대장균군이 검출되는 등 부적합 판정을 받은 소위 '프리미엄 분유'의 회수율이 44%에 머문 것으로 나타났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보건복지가족위원회 손숙미 의원(한나라당)은 최근 농림수산식품부로터 제출받은 '최근 4년간 분유 수거검사 부적합 조치내역 결과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2006~2009년 부적합 판정을 받은 프리미엄ㆍ유기농 분유 제품의 수거율이 44.9%로 나타났다고 7일 밝혔다.

이 기간 금속성 이물이나 비타민A 과다, 병원성 대장균 검출 등으로 회수명령을 받은 분유는 총 26만2천273개였으나 지난해 12월 기준 11만7천875개만 회수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프리미엄 분유가 수거처분을 받은 사례는 모두 8건으로, 2006년 매일유업 '프리미엄명작'의 경우 회수율이 0.2%, 2008년 파스퇴르의 '에머랄드 프리미엄'은 2.3%, 매일유업 '프리미엄명작-2'와 맘마 IQ는 각각 1.1%와 1.7%, 지난해 매일유업 '프리미엄궁 초유의 사랑'은 3.2% 수준에 머물렀다.

수거율이 낮은 이유는 이미 판매ㆍ소비된 비중이 높은 탓이 큰 데다 일부 구멍가게 등에서 회수되지 않은 사례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손 의원 측은 미판매량 대비 회수율이 확인되지 않는 상황에서 업체들이 회수의무를 소홀히 하고 있는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특히 분유의 위생문제가 끊이지 않는 가운데 농림부가 2008년 12월 관련 기준을 완화한 것도 문제라는 입장이다.

우리나라는 기존에 분유의 대장균군 검출기준을 '음성'에서 '1g짜리 5개 시료 가운데 단 1개에서만 대장균군 검출 허용'으로 완화한 반면, EU는 반대로 기준을 강화하거나 일본은 불검출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고 손 의원 측은 설명했다.

손 의원은 "면역력이 약한 유아들이 먹는 분유는 가장 엄격한 위생 기준을 적용해야 하고 농림부는 문제 제품의 회수율이 저조할 경우 강제회수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회수절차를 개선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농림부 안전위생과 관계자는 "판매 전 단계에서 부적합 판정이 나와 수거할 경우 수거율이 99% 이상에 달하지만, 판매단계에서 회수하면 회수율이 떨어지게 마련"이라면서도 "회수 때 활용하는 업체의 이력추적시스템이 구멍가게나 여러 단계를 거친 최종판매처에는 마련되지 않은 경우 판매 중인 제품의 회수율을 100%까지 높이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세영 기자 thedopest@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