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하루 만에 급유 거부 주장 번복
"BP, 이란 항공사와 급유계약 종료"

이란 항공기들이 미국의 제재법안 통과 여파로 타국 공항에서 항공유 공급을 거부당하고 있다는 주장의 진위를 놓고 혼선이 빚어지고 있다.

영국의 석유기업 BP가 이란 항공사들과의 급유계약을 연장하지 않아 이란 항공기들이 항공유를 공급받지 못하고 있다고 파이낸셜 타임스 독일어판이 6일 보도했다.

신문은 BP와 이란 항공사들 간 급유계약이 6월 말로 만료됐으며 이로 인해 이란 항공기 1대가 함부르크공항에서 재급유를 거부당해 스위스 빈에 착륙하는 등 그 여파가 나타나고 있다고 전했다.

파이낸셜 타임스의 보도는 영국, 독일, 아랍에미리트(UAE)가 이란 여객기들에 대한 재급유를 거부하기 시작했다는 메흐디 알리야리 이란항공연맹(IAU) 의장의 발언을 인용한 ISNA통신의 보도를 뒷받침하는 것이다.

알리야리 의장은 지난 5일 "이란에 대한 미국의 독자 제재법안이 통과된 이후 지난주부터 이란 여객기에 대한 급유가 거부되고 있다"며 "이번 사태로 인해 국영 이란항공, 민간항공사 마한항공이 이미 영향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BP 측은 이에 대해 "항공사들과의 개별 계약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는다"면서 "그러나 우리는 제재에 관해서는 모든 국가의 현지 규정을 존중한다"고 말했다.

BP 측은 유엔이 가결한 제재안이 이번 결정에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영국, 독일, UAE 항공 당국은 이란 항공기에 대한 급유는 정상적으로 이뤄지고 있다며 일제히 관련 보도를 부인했다.

라민 메흐만파라스트 이란 외무부 대변인도 "이란 항공기 급유는 정상적으로 이뤄지고 있다"며 "급유가 거부되고 있다는 주장은 잘못된 것이며 이는 이란에 대한 (서방의) 심리전의 일환"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UAE 항공 당국 관계자는 "급유 거부 논란은 항공유 공급 기업의 독자적 판단에 의해 촉발됐을 수 있다"며 "특정 공항에서 항공유 공급 기업이 이란 민간 항공기에 급유를 거부하는 사례는 과거에도 종종 있었다"고 말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지난달 9일 이란에 대한 4차 제재결의안을 가결했으며, 뒤이어 유럽연합(EU)과 미국의 제재 조치가 취해졌다.

미국 독자 제재법안은 휘발유와 항공유 등과 같은 정제유의 이란 유입을 막는 한편 국제 은행시스템에 대한 접근도 차단토록 해 유엔과 유럽연합(EU)의 제재 수준을 넘어 가장 강력한 조치로 평가되고 있다.

미국을 비롯한 서방은 이란이 민간 원자력프로그램을 위장해 핵무기 제조를 추진하고 있다고 의심하는 반면, 이란은 핵무기 개발 의도가 전혀 없다며 자국 핵 프로그램은 순전히 평화적 목적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두바이연합뉴스) 강종구 특파원 inyo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