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프장비가 나날이 발달하고 있지만,장타를 내려는 골퍼들의 욕심은 끝이 없다. 체격 · 핸디캡 · 스윙스피드 등 다른 조건이 같다고 했을 때 골프장비나 셋업 등을 차별화해 볼을 더 멀리 보낼 수 있는 길을 찾아본다.

드라이버의 로프트를 가능하면 큰 것을 택한다. 90타대 안팎을 치는 '보기 플레이어'라면 로프트가 적어도 10.5도 이상인 제품을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타는 일단 '캐리'(떠가는 거리)가 확보돼야 하는데,로프트가 큰 클럽일수록 캐리를 늘리는 데 도움을 준다.

티업할 때 쓰는 티(티 페그)를 높게 꼽는다. 길이가 7㎝ 이상 되는 '롱티'를 쓰라는 얘기다. 그런 뒤 클럽헤드가 최저점을 지나 올라가는 단계에서 컨택트되도록 하면 볼이 더 높이 떠 멀리 나간다. 샤프트는 긴 것이 볼을 멀리 보낼 수 있으나 '컨트롤'이 돼야 한다는 전제조건이 있다. 샤프트가 길면 스윙궤도가 커져 파워를 더 낼 수 있는 것은 당연한 이치이나,컨트롤할 수 있는 한도까지라야 한다.

그립은 좀 가는 것을 택한다. 그립이 가늘수록 손목 동작을 조장한다. 상대적으로 거리가 더 나는 드로성 구질을 많이 낼 수 있다는 의미다. 셋업할 때 볼을 왼발 선상보다 조금 더 앞쪽에 두면 '업워드(upward) 스윙'을 조장해 볼을 더 뜨게 하고 상대적으로 캐리가 늘어 거리가 증대된다. 이 경우 스탠스를 좀 더 넓히고,롱티를 함께 쓰는 것이 효과를 극대화한다. 볼은 스리피스나 포피스보다 투피스볼을 쓰는 것이 거리면에서 유리하다.
파3홀에서 정타를 치려면 반드시 티업하고 티샷을 해야 한다. 귀찮다는 이유로,또는 습관 때문에 볼을 티잉그라운드에 놓고 치는 골퍼들이 더러 있으나 이는 자신의 '권리'를 포기하는 것이다. 티업하고 치면 클럽헤드와 볼 사이에 풀이 끼이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볼을 더 정확히 맞힐 수 있다.

김경수 기자 ksm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