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경제 불확실성의 위기] 헝가리, 문제는 '재정적자 분식'…부실 안전지대 없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뢰밭 유럽
새정부 통계조작 실토, 그리스 정권교체기 닮아
이번주 초 해결 대책 촉각
새정부 통계조작 실토, 그리스 정권교체기 닮아
이번주 초 해결 대책 촉각
그리스 포르투갈 스페인 이탈리아에 이어 이번에는 헝가리에서 재정적자 위기의 '폭탄'이 터졌다. 남유럽의 국가부채 위기가 해결되기 전에 동유럽으로 이전되면서 유럽 전역에서 '재정적자의 안전지대'가 사라져 버렸다. 헝가리가 재정적자 규모를 은폐한 게 사실로 드러날 경우 동유럽국 전체로 투명성 위기가 번질 수 있다. 국제 금융시장은 헝가리발 충격이 헝가리 신정부의 고위층에서 시작됐다는 점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지난달 집권한 중도우파 헝가리 신정부는 출범 직후부터 "경제정책들을 입안하기 이전에 재정 실상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며 재정실태조사팀을 꾸렸고,지난달 바르가 미하이 국무장관은 "올해 정부의 재정적자가 과거 정부가 밝힌 국내총생산(GDP) 대비 4.0% 수준이 아니라 7.5%로 확대될 수 있다"며 통계의 투명성 문제에 의혹을 제기했다. 지난 3일에는 집권 여당인 피데스의 코사 라요스 부총재가 "헝가리가 그리스처럼 되는 상황을 피할 가능성은 매우 적고 새 정부의 목표는 디폴트를 면하는 것"이라며 사태를 확대시켰다. 이런 상황에서 총리실 대변인이 "전 정권이 경제 지표를 조작했다"며 자국의 정부 통계에 사실상 사형선고를 내린 것이다.
이처럼 재정적자 분식회계에 대한 일종의 '내부고백'이 터져 나오기 전부터 헝가리 정부의 재정적자 통계가 대외적인 신뢰를 얻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다. 지난해 재정적자가 GDP의 4%에 불과하고 올해 3.8% 이내로 줄어들 것이라는 정부 통계를 그대로 인정할 경우,2008년 리먼 사태로 국제통화기금(IMF)과 유럽연합(EU),세계은행에 총 200억유로를 빌리고 지난해 -6.3%로 최악의 경기침체를 경험한 국가가 우량국 독일(GDP 대비 5%)보다 재정이 건전한 것이 되기 때문이다.
헝가리 집권층의 잇따른 통계은폐 발언이 전임 좌파 정권과 차별화를 위한 국내 정치용이란 분석도 있지만 이 발언 때문에 남유럽과 동유럽을 아우르는 '디폴트 벨트'가 형성될 것이란 최악의 상황으로 비화되고 있다. 낙후된 동유럽 경제사정을 감안했을 때 헝가리 외에도 재정적자 규모를 은폐했을 가능성이 높은 국가들이 수두룩하기 때문이다.
헝가리의 통계조작 가능성은 그리스와 유사하다는 점에서 시장의 충격이 크다. 지난해 정권교체에 성공한 그리스 신정부도 "과거 정권의 재정적자 통계가 은폐됐다"며 재정적자 규모를 두 배 가까이 늘려 발표하면서 위기를 촉발했었다. 이에 따라 '끝없는 불신'의 악순환이 재연될 수 있다는 우려가 반복되고 있다.
일단 헝가리 정부와 EU는 서둘러 동유럽 위기확산 가능성을 막고 나섰지만 시장의 불신은 여전하다. 헝가리 정부는 이번 주 초 경제정책 실행계획을 내놓을 예정이다. 헝가리 정부가 디폴트 우려를 잠재울 어떤 대책을 내놓을지 주목된다.
김동욱 기자 kimdw@hankyung.com
지난달 집권한 중도우파 헝가리 신정부는 출범 직후부터 "경제정책들을 입안하기 이전에 재정 실상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며 재정실태조사팀을 꾸렸고,지난달 바르가 미하이 국무장관은 "올해 정부의 재정적자가 과거 정부가 밝힌 국내총생산(GDP) 대비 4.0% 수준이 아니라 7.5%로 확대될 수 있다"며 통계의 투명성 문제에 의혹을 제기했다. 지난 3일에는 집권 여당인 피데스의 코사 라요스 부총재가 "헝가리가 그리스처럼 되는 상황을 피할 가능성은 매우 적고 새 정부의 목표는 디폴트를 면하는 것"이라며 사태를 확대시켰다. 이런 상황에서 총리실 대변인이 "전 정권이 경제 지표를 조작했다"며 자국의 정부 통계에 사실상 사형선고를 내린 것이다.
이처럼 재정적자 분식회계에 대한 일종의 '내부고백'이 터져 나오기 전부터 헝가리 정부의 재정적자 통계가 대외적인 신뢰를 얻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다. 지난해 재정적자가 GDP의 4%에 불과하고 올해 3.8% 이내로 줄어들 것이라는 정부 통계를 그대로 인정할 경우,2008년 리먼 사태로 국제통화기금(IMF)과 유럽연합(EU),세계은행에 총 200억유로를 빌리고 지난해 -6.3%로 최악의 경기침체를 경험한 국가가 우량국 독일(GDP 대비 5%)보다 재정이 건전한 것이 되기 때문이다.
헝가리 집권층의 잇따른 통계은폐 발언이 전임 좌파 정권과 차별화를 위한 국내 정치용이란 분석도 있지만 이 발언 때문에 남유럽과 동유럽을 아우르는 '디폴트 벨트'가 형성될 것이란 최악의 상황으로 비화되고 있다. 낙후된 동유럽 경제사정을 감안했을 때 헝가리 외에도 재정적자 규모를 은폐했을 가능성이 높은 국가들이 수두룩하기 때문이다.
헝가리의 통계조작 가능성은 그리스와 유사하다는 점에서 시장의 충격이 크다. 지난해 정권교체에 성공한 그리스 신정부도 "과거 정권의 재정적자 통계가 은폐됐다"며 재정적자 규모를 두 배 가까이 늘려 발표하면서 위기를 촉발했었다. 이에 따라 '끝없는 불신'의 악순환이 재연될 수 있다는 우려가 반복되고 있다.
일단 헝가리 정부와 EU는 서둘러 동유럽 위기확산 가능성을 막고 나섰지만 시장의 불신은 여전하다. 헝가리 정부는 이번 주 초 경제정책 실행계획을 내놓을 예정이다. 헝가리 정부가 디폴트 우려를 잠재울 어떤 대책을 내놓을지 주목된다.
김동욱 기자 kimd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