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日 `천안함 긴밀공조'..中 상당한 진전 조짐
靑 "中 한걸음 진전..3국 공통인식 최대공약수 끌어내"

한국, 일본, 중국 정상이 30일 공동발표문을 통해 `천안함 사태'를 직접 언급하고 향후 지속적이고 적절한 대처에 합의한 것은 중국의 입장에 다소 진전이 이뤄진 것이라는 분석이다.

중국 정부는 이날 제주에서 폐막한 한.일.중 정상회의 전까지 혈맹 관계인 북한이 국제사회의 `전방위적 제재'의 표적으로 떠오른 데 대해 다소 부정적인 입장을 보여왔다.

그러나 지난 28일 한중 정상회담에서 미세한 변화의 기류를 내비친데 이어 3국 정상회의 기간에는 `천안함 사태'를 직접 언급하고 희생자들에 애도를 표하는 등 이전보다 천안함 문제에 적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원자바오(溫家寶) 총리는 이명박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누구도 비호하지 않겠다"고 강조했고, 이날 3국 정상 공동회견에서는"일.중 정상은 한국과 국제합동조사단이 수행한 공동조사와 각국 반응을 중요시했다"는 표현을 넣는 데 동의했다.

또 중국이 "책임있는 국가"라는 점을 강조한 것도 주목할 대목이다.

이와 함께 지난 두 차례의 3국 정상회의에서는 폐막 공동회견에서 정상들이 각자 입장을 발표했었지만, 이번에는 처음으로 공동발표문을 만드는 데 원 총리가 동의한 것 자체도 의미가 크다는 게 청와대 측의 설명이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중국이 지난번 반걸음 다가왔다면 지금은 한 걸음 다가온 것으로 봐도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중국 정부가 다소나마 입장 변화의 조짐을 보인 것은 이번 정상회의 기간에 한일 양국 정상이 긴밀한 공조로 설득과 우회적 압박을 병행한 데 따른 영향이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대통령과 하토야마 유키오(鳩山由紀夫) 일본 총리는 이번 회의 기간 양자 회담을 통해 강력한 대북 제재를 추진하자는 데 동의하는 등 굳건한 공조 체제를 가동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중국의 속내에는 여전히 변화가 없다는 분석도 나온다.

특히 원 총리가 `북한'이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와 같은 단어를 전혀 언급하지 않은 점이 중국의 `신중론' 유지 근거로 제기됐다.

또 원 총리가 천안함 사태와 관련해 가장 시급히 해결할 문제로 '긴장 해소와 군사적 충돌 방지'를 꼽고, '남북한과의 의사소통', '민감한 문제의 타당한 해결' 등을 강조한 것은 결국 천안함 사태 국면에서 중국의 정치적 이익을 최우선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는 주장도 있다.

이에 대해 청와대는 중국의 평소 정치적 관행이나 제스처를 이해하지 못한 분석이라고 반박하고 있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중국은 원래 북한이나 유엔 안보리 관련 언급을 공개적으로 하지 않는다"면서 "공동 언론발표문에 `천안함 사태'라는 말을 담은 자체도 큰 진전"이라고 설명했다.

한 참모도 "천안함 사태는 기본적으로 (3국간) 합의가 어려운 사안인데 중국도 함께 한배를 탄 게 중요하다"면서 "두 나라 정상이 아니라 세 나라 정상이 함께 합의한 언론발표문을 낸다는 것 자체가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제주연합뉴스) 이승우 기자 lesli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