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여력이 줄어든다…총저축률 30% '26년만에 최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주요국 비해 가파른 하락세
경기 불황으로 국민 소득이 정체되고 저축에 대한 관심이 낮아지면서 총저축률이 26년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다.
23일 기획재정부와 통계청에 따르면 작년 한국의 총저축률은 30.0%로 1983년 28.9% 이후 가장 낮았다. 국민 처분 가능 소득에서 민간과 정부의 소비지출을 뺀 총저축을 국민 총처분 가능 소득으로 나눈 비율이 총저축률이다. 총저축률이 낮아지면 기업과 가계가 쌓아 놓은 돈이 줄어 투자 여력이 감소하고 가계 건전성이 나빠진다.
우리나라의 총저축률은 1984년 30.9%로 30%대를 돌파한 뒤 1988년에는 40.4%까지 치솟았다. 하지만 무역수지 개선과 원화 절상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한 1993년 36.9%로 떨어진 뒤 줄곧 30%대를 기록해왔다. 최근 3년간 총저축률은 2007년 30.8%,2008년 30.5%,작년 30.0% 등으로 떨어졌다. 이는 국민소득 2만달러였을 때를 기준으로 미국(16.8%) 영국(16.1~16.2%) 프랑스(20.3~20.9%) 독일(23.3%)보다 높지만 하락폭이 가파르다는 점이 다르다.
경제 전문가들은 투자 여력 감소를 우려하고 있다. 유경원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한국의 개인저축률 급락은 다른 나라와 비교해 볼 때 현격한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가계 저축률이 하락하면 금융자산 보유 규모가 감소, 실업 등의 충격에 대처하거나 노후에 대비할 능력이 떨어진다.
그는 "저축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소비를 줄이기보다 교육비와 부동산 구입비를 줄여야 한다"며 "부동산 시장 안정과 사교육비 감소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
23일 기획재정부와 통계청에 따르면 작년 한국의 총저축률은 30.0%로 1983년 28.9% 이후 가장 낮았다. 국민 처분 가능 소득에서 민간과 정부의 소비지출을 뺀 총저축을 국민 총처분 가능 소득으로 나눈 비율이 총저축률이다. 총저축률이 낮아지면 기업과 가계가 쌓아 놓은 돈이 줄어 투자 여력이 감소하고 가계 건전성이 나빠진다.
우리나라의 총저축률은 1984년 30.9%로 30%대를 돌파한 뒤 1988년에는 40.4%까지 치솟았다. 하지만 무역수지 개선과 원화 절상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한 1993년 36.9%로 떨어진 뒤 줄곧 30%대를 기록해왔다. 최근 3년간 총저축률은 2007년 30.8%,2008년 30.5%,작년 30.0% 등으로 떨어졌다. 이는 국민소득 2만달러였을 때를 기준으로 미국(16.8%) 영국(16.1~16.2%) 프랑스(20.3~20.9%) 독일(23.3%)보다 높지만 하락폭이 가파르다는 점이 다르다.
경제 전문가들은 투자 여력 감소를 우려하고 있다. 유경원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한국의 개인저축률 급락은 다른 나라와 비교해 볼 때 현격한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가계 저축률이 하락하면 금융자산 보유 규모가 감소, 실업 등의 충격에 대처하거나 노후에 대비할 능력이 떨어진다.
그는 "저축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소비를 줄이기보다 교육비와 부동산 구입비를 줄여야 한다"며 "부동산 시장 안정과 사교육비 감소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