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앞선 국채 시스템을 중국에 전수한다. '

지난 12일 중국 베이징에 있는 한 호텔.중국증권감독관리위원회(CSRC) 관계자들이 김정관 기획재정부 국고국 국채과장의 브리핑에 온통 귀를 기울이고 있었다. "중국 국채시장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제대로 개방해야 한다"는 조언에 연방 고개를 끄덕였다.

김 과장은 "중국이 한국의 선진 노하우를 배우고 싶다며 재정부 국고국을 초청했다"면서 "중국 외에도 한국의 앞선 국채시스템을 배우겠다는 개발도상국들의 문의가 잇따르고 있다"고 말했다.

재정부 외에 이번에 초청을 받은 곳은 국제통화기금(IMF)과 세계 최대 채권투자사인 핌코(PIMCO) 두 곳이다. 특히 IMF는 CSRC에 국채시스템을 벤치마킹할만한 나라로 한국을 추천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채시스템이 낙후돼 있는 중국 입장에서는 미국 등 선진국보다 한국의 모델이 더 효과적이라는 이유에서다.

중국이 '한수 배우겠다'고 나설 만큼 최근 한국 국채시장의 성장은 눈부시다. 작년까지만 해도 100%대에 머물렀던 국고채 응찰률은 올해 1분기 311%로 치솟았다. 응찰률이 높아진 것은 시중에 돌아다니는 자금이 풍부하고 향후 금리 하락(채권값 상승) 가능성이 예측되기 때문이긴 하지만,국채의 환금성을 더 높이는 등 거래시스템을 활성화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 재정부의 분석이다.

유통시장에서 국고채 회전율(거래액/발행잔액)은 2007년 374.7%,2008년 386.1%였고 지난해에는 528.5%로 높아졌다.

한국 경제의 장기 전망을 밝게 본 외국인 투자자들의 유입이 늘어난데다 쉽게 사고팔 수 있는 시스템이 정착돼 거래가 크게 증가했기 때문이다. 외국인 투자자가 보유한 장기 국고채는 지난달 사상 처음으로 30조원을 넘어섰다.

재정부는 중국에서 국채가 유찰되는 일까지 발생하는 것은 가격 신뢰도가 떨어지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적정한 가격인지 믿을 수 없기 때문에 투자를 많이 할 수 없다는 얘기다.

이를 개선하려면 우선 공인 거래소에서 거래되는 국채 비중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재정부는 지적했다. 전체 국채거래에서 거래소를 통한 거래 비중이 한국은 10%에 달하는 반면 중국은 1% 미만에 그치고 있다.

한국이 채택하고 있는 국고채전문딜러(PD)제도를 도입하는 것도 검토해볼 만하다고 조언했다. PD에게 국고채를 인수할 수 있는 우선적 권리를 주는 조건으로 시장활성화 의무를 부여하라는 것이다. 아울러 외국인 투자 허가제나 보유 상한선 등의 규제도 없앨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유재훈 재정부 국고국장은 "CSRC가 하반기에는 한국을 방문해 구체적인 벤치마킹을 하기로 했다"며 "우리와 비슷한 국채시스템을 채택하는 나라들이 많아지면 금융사들의 해당 국가 진출도 훨씬 쉬워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욱진 기자 ventur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