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 · 군합동조사단이 16일 천안함 침몰원인에 대해 '외부 충격'으로 잠정 결론을 내리면서 어뢰와 기뢰에 의한 폭발로 좁혀지고 있다.

합조단이 이날 외부 충격의 실체로 어뢰와 기뢰 등 수중무기를 언급하진 않았지만 그간 제기돼온 피로파괴와 내부 폭발,암초에 의한 좌초 가능성을 사실상 배제함에 따라 두 가지로 압축된 것이다.

어뢰에 의한 공격이라면 북한의 연루 가능성과 연결될 수 있는 반면 기뢰에 의한 폭발이라면 단순 사고로 결론이 날 개연성이 없지 않다. 군 당국은 북한의 개입 가능성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견지하면서도 내부적으로는 북한의 어뢰공격 가능성에 무게를 싣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천안함 침몰 초기부터 '어뢰 타격'은 유력한 원인으로 제기돼 왔다. 1200t급의 대형 초계함을 일순간에 두 동강 낼 수 있는 것은 상어급(300t) 잠수함 등이 탑재한 중어뢰 수준은 돼야 한다는 게 군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특히 직주어뢰(일직선 방향으로 향하는 어뢰)보다는 주변 물을 끌어들여 고압 물대포가 함정을 강타하는 방식의 '버블제트(bubble jet) 어뢰'가 이번 침몰 사고와 연관이 깊다는 분석이 나온다.

윤덕용 공동단장은 이날 "전문가들의 판단으로는 접촉도 가능하지만 접촉 없이 선체 근처에서 폭발했을 가능성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선체 접촉 없이 수중 폭발로 천안함에 타격을 줬을 수 있다는 것이다.

안충승 KAIST 해양시스템공학과 교수는 "선체 하부에서 굉장히 강력한 외부 폭발이 있었던 것 같다"며 "직주어뢰라면 구멍이 'O'자 형태로 뚫렸겠지만 바닥에 깔린 초록색 우레탄이 갑판까지 솟구칠 정도의 충격이라면 이보다 발달된 '버블제트 어뢰'가 확실한 것 같다"고 밝혔다.

군 당국자도 "함미 절단면이 직주어뢰 등 직접타격으로 생기는 큰 구멍 등 '파공' 흔적이 발견되지 않아 직주어뢰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합조단은 수중폭발이 배 한가운데가 아니라 중심부에서 좌측으로 가까운 위치에서 발생했을 가능성을 높게 보고 정밀 조사 중이다.

일각에선 천안함이 미처 제거되지 않은 기뢰와 부딪혀 침몰했을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사고가 발생한 백령도 인근 초소는 1970년대까지 미군의 레이더기지가 설치,운영됐던 곳으로 러시아와 중국의 군사력을 견제할 수 있는 전략적 군사요충지였다. 당시 미군은 북한군의 기습 상륙에 대비,백령도 해역에 폭뢰를 개량한 수백 개의 기뢰를 설치했다.

해병대 전역자는 "잠수훈련 중 해저면에서 기뢰 등의 폭발물을 자주 발견했다"고 말했다. 이 중 일부는 수심 20m 바닥까지 떠내려감에 따라 사고를 우려한 해군이 2008년 유실된 지뢰 수거 작업을 벌이기도 했다.

군은 이날 폭발지점 반경 500m내 해역에서 파편 수거에 주력하고 있다. 파편을 분석하면 원인을 밝혀낼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군은 이미 몇 개의 금속파편을 수습,분석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장성호 기자 ja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