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기업 4곳 가운데 1곳은 최근 원자재 가격 상승이 감내할 수준을 넘어섰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전국 504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원자재가격 상승에 따른 기업애로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조사대상의 24.8%가 '원자재 가격 상승이 이미 감내 수준을 넘었다'고 답했다고 15일 밝혔다.

이어 '앞으로 약 10%까지는 감내할 수 있다'는 응답이 60.1%에 달했고, '20% 이내까지'라는 응답은 12.1%로 나타났다.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어려움은 중소기업이 대기업보다 더 큰 것으로 조사됐다. '감내 수준을 넘었다'고 응답한 중소기업은 29.8%에 달했으며, 대기업은 13.9%로 조사됐다. 또 중소기업의 59.2%는 '원자재 값이 10% 이상 상승하면 감내 불가능'이라고 답했다.

실제 14일(현지시간) 뉴욕상품거래소(NYMEX)에서 거래된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5월물은 전년(49.41달러)보다 약 74% 급등했다. 중동산 두바이유도 전년보다 64%가량 상승했다.

세계 비철금속 시장인 런던금속거래소(LME)에서 니켈 3개월물도 전년보다 125%나 올랐다. 이밖에 구리 3개월물은 72.4% 상승했으며, 알루미늄 3개월물과 아연 3개월물도 각각 63.1%, 68.5% 뛰었다.

이에 따른 피해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 기업의 31.9%는 '원자재 가격의 상승 여파로 기업 경영에 피해가 매우 심각하다' 답했고, 61.3%는 '피해가 다소 있다'고 답했다.

구체적인 피해 형태(복수응답)는 △생산비 상승으로 인한 채산성 악화(53.0%) △구매 자금난(41.1%) △원료 공급 부족에 따른 생산 차질(22.6%) △제품가격 인상에 따른 매출 감소(21.9%) 등으로 나타났다.

이런 피해에도 기업 69.2%는 원자재 값 상승에 대한 대책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손영기 대한상의 거시경제팀장은 "국내 기업들은 원자재 공급업체 다양화와 비용 절감 노력, 대체원료 물색 등 다양한 자구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며 "국내 기업의 원자재 수입 의존도가 97%에 달하는 현실을 고려해 원자재 구매자금 지원 확대와 수입관세 인하, 긴급할당관세 시행 등 정부의 지원방안이 조속히 마련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경닷컴 김은영 기자 mellis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