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소재 자동차부품 업체인 발레오전장스시템코리아㈜의 노사분규와 관련, 민주노총 금속노조가 연대파업을 본격화하는 등 사태가 갈수록 악화되는 추세여서 걱정스럽다. 분규(紛糾) 해결이 더욱 어려워지는 것은 물론 자동차 산업과 지역 경제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되는 까닭이다.

이 회사의 노사분규는 지난달 4일 경비직 5명이 외주화된 것을 계기로 노조가 쟁의 행위에 나서자 사측이 직장폐쇄로 대응하면서 시작됐다. 양측이 팽팽히 대립하면서 금속노조 경주지부가 연대파업에 돌입한 데 이어 지난 주말엔 전국금속노동자대회를 개최하는 등 전선을 확대하고 있다. 투쟁을 민노총 단위로 격상시키는 방안도 추진중이라는 소식이다.

하지만 연대파업은 말이 안된다. 아무런 문제도 없는 기업 노조가 다른 사업장 투쟁을 지원키 위해 파업을 하며 자신의 회사에 피해를 입히는 게 무슨 명분과 설득력이 있는가. 관련 법률이 정한 절차조차 거치지 않은 만큼 불법 파업임이 명백하다.

더구나 경주지역 경제는 이번 사태로 인해 큰 타격을 받고 있다. 직장폐쇄가 진행중인 발레오코리아만 해도 종업원이 875명 매출액은 3057억원에 달해 지역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하다. 특히 이 일대에 현대자동차 부품 협력업체들이 밀집해 있는 만큼 연대파업 사태가 장기화되면 충격이 더욱 심화될 수밖에 없다. 지역경제가 휘청거리고 완성차업체인 현대자동차까지 조업 전반에 심각한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이야기다.

노사분규는 고용 문제에까지 악영향을 미치게 마련이다. 뉴거버넌스 연구센터가 2006년 이후 노사분규가 일어난 398개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파업 전에는 총고용 인원이 0.85% 늘었지만 파업 후에는 오히려 6.2%나 감소했다고 한다. 파업은 어떤 형태의 것이든 최대한 자제돼야 한다는 점이 입증(立證)된 셈이다. 그런데도 일개 기업의 노사분규 때문에 멀쩡한 기업의 노조까지 파업을 벌인대서야 말이 되겠는가. 부작용만 양산하는 불법 연대파업은 당장 중단돼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