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마귀는 피부 또는 점막에 사람 유두종 바이러스의 감염으로 표피 과다증식이 일어나 임상적으로는 표면이 오돌토돌한 구진으로 나타난 증상을 말한다. 피부 전체적으로 발생할 수 있으나 주로 노출 부위인 손, 발, 다리, 얼굴 등에 발생하고, 성 관계를 통해 성기에도 발생할 수 있다. 유두종 바이러스에 의한 피부감염증으로 전염성이 있는 것이 사마귀의 특징이다. 사마귀의 종류로는 보통 표면이 융기된 구진 형태로 다양하게 발생하는 보통사마귀와 융기 되지 않고 납작한 모양으로 발생하는 편평 사마귀, 그리고 티눈과 가장 흡사해 보이는 손발바닥사마귀와 음부사마귀, 뽀족콘딜로마 등으로 구분이 된다. 이중 음부사마귀가 걸렸을 경우 배우자에게 전염이 될 수 있으므로 신속하게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손발바닥 사마귀의 경우 티눈하고 차이점은 티눈은 마찰이 심한 부위에 발생하지만 사마귀는 그렇치 않은 부위에도 발생 한다는 점이다. 사마귀 치료를 할 때도 하나의 사마귀라도 남겨 두게 된다면 바이러스의 전염에 의해 다시 쉽게 퍼지게 되고 숫자가 늘어나게 되면서 완치까지 상당한 시일이 소요된다. 따라서, 사마귀는 발생 초기에 진료를 받은 후 사마귀 형태와 종류에 맞는 치료를 선택해 빠른 시일 내에 제거를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사마귀와 유사한 외형적인 형태를 보여주는 티눈은 손과 발 등의 피부가 물리적인 자극을 지속적으로 받아 작은 범위의 각질이 증식되어 원뿔모양으로 피부에 박혀 있는 것을 말한다. 위에서 누르면 아픈 특징이 있고, 티눈을 깎았을 때 중심핵이 보인다. 티눈은 지속적인 마찰로 발생하는 만큼 마찰이 발생하는 부위에 대해 각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각질 연화제를 도포하는 방법으로 피부를 보호해 주는 것이 좋다. 또한, 최대한 각질 두꺼워 지기 전에 미리 병원 진료를 통해 티눈의 뿌리를 제거해 주면 치료하기가 수월하다. 티눈의 경우는 사마귀와는 달리 전염성은 없지만 신체적인 움직임이 많은 부위에 발생하기 때문에 신경이 많이 가는 피부 질환이다. 사마귀와 티눈. 둘 다 발생하면 귀찮은 질환이다. 일반인들은 2가지의 질환에 대해 명확하게 판단하지 못하고 민간요법으로 잘못 처치해 병원을 찾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 사마귀와 티눈의 가장 큰 차이점은 사마귀는 바이러스에 발생하는 질환이고 티눈은 지속적인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이다. 사마귀와 티눈은 꼭 피부과 전문의에게 진료를 받은 후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사마귀를 치료하는 방법에는 냉동치료, 약물치료, 레이저 치료를 대표적으로 들 수 있다. 보통 2·3회 이상 치료를 받아야 효과를 볼 수 있으며 후 관리를 하지 못하면 재발하기 쉽기 때문에 외출 후 손발을 깨끗하게 하는 습관부터 신체 바이오리듬을 건강하게 유지하는 것도 사마귀가 재발을 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방법이다. 듀오피부과 홍남수 원장은 “사마귀 치료를 초기에 치료를 시작해서 완치될 때까지 치료를 하는 것이 가장 치료 효과가 좋다. 반면, 티눈의 경우는 핵까지 완전히 제거한 후 상처를 치유하면 완치가 가능하다. 푸스플레게 치료를 사용하면 너무 깊은 티눈을 제외하고는 1회 시술로도 좋아질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티눈이 발생하는 부위가 마찰이 심한 부위이기 때문에 마찰 부위를 잘 관리하지 않으면 쉽게 재발이 될 수 있으므로 패치를 부착하는 등의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조언도 잊지 않았다. 삶과 죽음에 있어서 문제는 되지 않지만 일상생활에서 불편함을 겪는 티눈과 사마귀 2가지 질환 모두 치료시일을 미루다 보면 병세가 커져서 치료가 어렵다. 따라서 초기 진단과 치료로 재발과 전염이 잘되는 사마귀와 티눈을 치료하는 것이 완치할 수 있는 지름길이다. 장익경기자 ikjang@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