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의 약수터와 우물, 샘터 가운데 22.8%는 마시기에 부적합한 물인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전국 지방자치단체가 실시한 2009년 먹는물 공동시설 수질검사 결과를 취합해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항목은 일반세균, 총대장균군, 대장균군, 암모니아성질소, 질산성질소, 과망간산칼륨소비량, 증발잔류물 등이었고 전체 시료 수는 9천156건이었다. 전체 시설 1천912곳 중 수원 고갈, 시설 정비 등으로 검사할 수 없는 338곳을 제외하고 시료가 채취됐으며 1,2,4분기에는 1회씩, 여름철이 포함된 3분기에는 매달 검사가 이뤄졌다. 먹는물 기준을 벗어난 2천92건(22.8%) 가운데 97.9%에 달하는 2천48건이 일반세균, 총대장균군 등 미생물 기준을 초과했다. 질산성 질소 등 건강상 유해물질 항목의 부적합 비율은 0.6%, 탁도나 알루미늄 등 심미적 영향 물질 항목의 기준 초과 비율은 1.5%였다. 환경부는 주변 오염물질 유입과 애완.야생동물의 분변 영향, 관리소홀 등으로 수질이 악화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여름철에는 장마철 빗물 유입과 등산객 증가 등으로 오염이 심해져 29.3%가 기준에 어긋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유형별로 보면 서울 약수터의 36.3%, 대구 약수터의 34.3% 등 대도시 지역 약수터 물이 마시기에 부적합했고 제주(0.0%), 전남(3.4%), 경북(6.5%), 경남(7.4%) 등의 부적합률은 대체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 부적합 판정을 받은 공동이용시설을 관할하는 시장, 군수, 구청장 등은 수질검사 공개와 사용중지.금지, 미생물 살균기 설치 등 조치를 취했으며 55개 시설은 폐쇄했다. 채주연기자 jychae@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