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올해부터 한 · 중 · 일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을 포함한 동아시아 경제통합 논의에 본격 착수하기로 했다.

정부는 25일 한국개발연구원(KDI)에서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비상경제대책회의를 열고 '지난 2년간 정상외교 성과 및 향후 추진 전략'을 논의했다.

G20(주요 20개국) 정상회의 유치를 계기로 높아진 국격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대외 경제협력 및 부처 간 협업을 강화한다는 게 이번 전략의 핵심이다. 주요 내용을 보면 먼저 우리의 경제 발전 경험을 전수하는 KSP사업 대상 국가를 올해 4개국(베트남 인도네시아 우즈베키스탄 캄보디아)에서 내년 7개국,2012년 10개국으로 늘리기로 했다.

경제협력개발기금(EDCF)도 개발도상국의 발전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총사업비 5000만달러 이상의 중대형 사업 위주로 지원하기로 했다. 지난해 한국 중국 일본 등 3국 정상회의에서 거론됐던 한 · 중 · 일 FTA 체결에 관한 논의도 본격화한다. 허경욱 기획재정부 1차관은 부처 합동 브리핑에서 "올해 우리나라가 한 · 중 · 일 정상회의 의장국을 맡은 점을 활용해 역내 경제통합에 대한 논의를 주도하려 한다"며 "첫 단계로 상반기에 3국 간 FTA 체결의 장단점을 분석하는 산 · 관학 공동연구 1차회의를 열 계획"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지난해 아랍에미리트(UAE) 원전 수주처럼 올해도 정상외교를 통해 경제분야 성과를 내는 데 주력하기로 했다. 구체적으로 3월 중 입찰공고가 나올 예정인 브라질의 고속철도사업(사업비 200억달러)과 연내 사업자를 선정하는 요르단 대수로사업(사업비 28억8000만달러)을 수주하는 데 총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이다.

이태명 기자 chihir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