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 미스매치를 풀자] (3·끝) "구직자엔 정확한 정보 제공…기업은 매력적인 일터 만들어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3·끝) 해법은…전문가 진단
기업 보는 안목부터 길러주고, 눈높이 낮추는 노력도 필요
인재 절실하면 '삼고초려'…뽑았으면 믿고 팍팍 밀어줘야
기업 보는 안목부터 길러주고, 눈높이 낮추는 노력도 필요
인재 절실하면 '삼고초려'…뽑았으면 믿고 팍팍 밀어줘야
2009학년 대학진학률은 82%.세계 최고 수준이다. 고교졸업생 열에 여덟이 대학에 가는 나라가 대한민국이다. 하지만 이 같은 고학력화는 심각한 중소기업 구인난의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고 있다.
1990년 33%였던 대학진학률은 20년 사이 세 배 가까이 높아졌다. 하지만 중소기업은 사람이 없다며 아우성이다. 중소기업은 우리나라 전체 기업 수의 99%에 이르고 고용의 88%를 책임질 정도로 국가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 반면 12만명의 대졸 실업자들은 '고학력 백수'로 전락한 상태다.
이 같은 미스매치가 계속되는 한 '산업 한국'의 미래는 암담할 수밖에 없다. 한 중소기업 사장은 "지금 산업현장의 주축인 베이비붐 세대가 본격적으로 은퇴할 때면 상상하기 힘든 인력 공동화가 닥칠 것이 분명하다"며 "학사모를 썼다고 눈높이만 높아진 대졸자가 줄어들어야 중소기업 인력난이 다소 완화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해법은 없을까. 전문가들이 제시한 해결책은 다양했다. 다만 두 가지 점에는 대체로 의견을 같이했다. 우선 기업과 구직자 간에 채용 · 취업에 관한 인식 차가 워낙 큰 만큼 근본적인 미스매치 해소는 단기적으로 쉽지 않다는 것.따라서 서로가 서로를 제대로 파악하면서 차근차근 해법을 찾는 끈기와 노력이 요구된다고 이들은 강조했다.
◆기업 보는 안목 키우고 눈높이 낮춰야
가장 큰 문제는 '정보의 미스매치'.중소기업 경영자들은 고학력 구직자들이 품고 있는 중소기업에 대한 불만을 제대로 알지 못한 채 '배가 덜 고픈 것 같다'며 탓하고,고학력자들은 어떤 중소기업이 우량 업체인지 알지 못하면서 '졸업장 받기까지 투자한 돈이 얼마인데'라며 중기 입사를 꺼리고 있는 게 현실이다.
백필규 중소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국민 의식을 개선하라거나,눈높이를 낮추라는 캠페인도 효과는 있겠지만 무엇보다 대학 측이 관련 정규과목 신설을 통해 재학생들이 실력과 비전을 갖춘 우수 업체를 골라낼 안목을 갖도록 도와주는 게 효율적"이라고 주장했다. 이를 통해 제대로 된 기업정보를 제공해 졸업생들이 자발적으로 중소기업을 선택하도록 유도하자는 것이다. 이를 위해선 최소 30만개 이상으로 추산되는 국내 우수 중소기업의 재무상태와 기술,임금 · 복지,최고경영자(CEO)의 철학,근무환경,비전 등을 일목요연하게 검색할 수 있는 포털사이트나 데이터베이스(DB)를 만들어 등록된 구직자에게 모바일 메시지 등으로 지속적으로 제공해야 한다는 게 그의 제언이다.
전산학을 전공하지 않은 일반 대졸자에 대한 정보기술(IT) 교육 활성화도 모색해 볼 만하다는 조현정 비트컴퓨터 회장의 생각은 정책입안자들의 눈높이를 구직자에 맞춰보자는 맥락에서 주목할 만하다. 컴퓨터 스마트폰 등 첨단 IT 기기에 익숙한 신세대 구직자들의 성향을 기술 개발로 연결시켜 보자는 아이디어다.
이와 관련,그는 30만명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머 양성을 제안했다. 조 회장은 "앞으로는 어떤 전자제품이든 내장 소프트웨어가 들어가지 않는 게 없을 것"이라며 "세계적 경쟁력이 있고,신세대들도 관심있는 산업 분야에 집중 투자하는 것이 분산 지원보다 효과적이며 산업의 발전 방향과 궤를 같이하는 방법"이라고 말했다.
◆'사격(社格)' 높여 구직자 유인해야
인재경영 전문가인 가재산 조인스HR 대표는 고학력 청년실업 문제의 원인을 '근로 의욕의 퇴화'로 요약했다. 공무원,공기업 직원,교사 등 비교적 안정적인 직업에 젊은 구직자들이 몰려드는 현상도 여기서 비롯됐다는 얘기다.
하지만 이런 성향을 탓하기만 할 것이 아니라 적극적인 인재 유인책을 고안하고,일단 채용했다면 키우는 데 책임을 져야 한다고 그는 강조했다. 가 대표는 "수도권에서 평일 골프가 성황인 이유가 강남 아줌마들과 중소기업 사장들 덕분이라는 말이 있다"며 "인재가 중요하다면서 정작 인재 교육에 과감히 돈 쓸 줄 아는 중소기업 CEO가 얼마나 되는지 되짚어봐야 할 것"이라고 꼬집었다.
한영수 중소기업중앙회 부회장(한양넉스 회장)은 "시설투자도 좋지만 문화경영,복지경영 등을 통한 품격 있는 기업을 먼저 만드는 게 순리"라며 "아울러 단기간의 임금 복지 수준은 대기업보다 못하지만 포괄적인 업무능력 향상 등을 고려할 경우 중소기업에서의 생애임금이 더 많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는 등 입사가 그들에게 왜 이익인지를 명확히 제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인재경영에 투자할 여력 키워줘야
구직자들의 중소기업 취업을 유도하기 위해선 '비용과 효율'을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민화 중소기업 호민관은 "채용 보조금 등 직접 지원은 고용유지 비용을 감안할 때 배보다 배꼽이 더 크다"며 "유명무실화돼 있는 스톡옵션제 등을 활성화해 기업이 구직자에게 제시할 카드를 더 많이 만들어 줘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궁극적으로는 중소기업이 성공해야 우수 인재가 몰리고 인재경영도 가능한 것"이라며 "국내 중소기업의 70%가 B2B 형태의 납품업체인 만큼 대기업 등과의 거래에서 적정한 수익을 보장받을 수 있는 선순환 배분구조를 빨리 만들어 나가는 것도 시급하다"고 말했다.
인재경영에 투자할 여력을 만들어 주는 것도 정부의 몫이라는 지적이다. 손민중 삼성경제연구소 연구위원은 "사업주가 부담하는 4대 사회보험료를 정부가 상당부분 지원하는 방안도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라며 "현재 프랑스는 '고용촉진 계약'을 통해 장기 실업자를 고용하는 기업에 사회보장비를 면제하고 보조금도 지급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관우 기자 leebro2@hankyung.com
1990년 33%였던 대학진학률은 20년 사이 세 배 가까이 높아졌다. 하지만 중소기업은 사람이 없다며 아우성이다. 중소기업은 우리나라 전체 기업 수의 99%에 이르고 고용의 88%를 책임질 정도로 국가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 반면 12만명의 대졸 실업자들은 '고학력 백수'로 전락한 상태다.
이 같은 미스매치가 계속되는 한 '산업 한국'의 미래는 암담할 수밖에 없다. 한 중소기업 사장은 "지금 산업현장의 주축인 베이비붐 세대가 본격적으로 은퇴할 때면 상상하기 힘든 인력 공동화가 닥칠 것이 분명하다"며 "학사모를 썼다고 눈높이만 높아진 대졸자가 줄어들어야 중소기업 인력난이 다소 완화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해법은 없을까. 전문가들이 제시한 해결책은 다양했다. 다만 두 가지 점에는 대체로 의견을 같이했다. 우선 기업과 구직자 간에 채용 · 취업에 관한 인식 차가 워낙 큰 만큼 근본적인 미스매치 해소는 단기적으로 쉽지 않다는 것.따라서 서로가 서로를 제대로 파악하면서 차근차근 해법을 찾는 끈기와 노력이 요구된다고 이들은 강조했다.
◆기업 보는 안목 키우고 눈높이 낮춰야
가장 큰 문제는 '정보의 미스매치'.중소기업 경영자들은 고학력 구직자들이 품고 있는 중소기업에 대한 불만을 제대로 알지 못한 채 '배가 덜 고픈 것 같다'며 탓하고,고학력자들은 어떤 중소기업이 우량 업체인지 알지 못하면서 '졸업장 받기까지 투자한 돈이 얼마인데'라며 중기 입사를 꺼리고 있는 게 현실이다.
백필규 중소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국민 의식을 개선하라거나,눈높이를 낮추라는 캠페인도 효과는 있겠지만 무엇보다 대학 측이 관련 정규과목 신설을 통해 재학생들이 실력과 비전을 갖춘 우수 업체를 골라낼 안목을 갖도록 도와주는 게 효율적"이라고 주장했다. 이를 통해 제대로 된 기업정보를 제공해 졸업생들이 자발적으로 중소기업을 선택하도록 유도하자는 것이다. 이를 위해선 최소 30만개 이상으로 추산되는 국내 우수 중소기업의 재무상태와 기술,임금 · 복지,최고경영자(CEO)의 철학,근무환경,비전 등을 일목요연하게 검색할 수 있는 포털사이트나 데이터베이스(DB)를 만들어 등록된 구직자에게 모바일 메시지 등으로 지속적으로 제공해야 한다는 게 그의 제언이다.
전산학을 전공하지 않은 일반 대졸자에 대한 정보기술(IT) 교육 활성화도 모색해 볼 만하다는 조현정 비트컴퓨터 회장의 생각은 정책입안자들의 눈높이를 구직자에 맞춰보자는 맥락에서 주목할 만하다. 컴퓨터 스마트폰 등 첨단 IT 기기에 익숙한 신세대 구직자들의 성향을 기술 개발로 연결시켜 보자는 아이디어다.
이와 관련,그는 30만명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머 양성을 제안했다. 조 회장은 "앞으로는 어떤 전자제품이든 내장 소프트웨어가 들어가지 않는 게 없을 것"이라며 "세계적 경쟁력이 있고,신세대들도 관심있는 산업 분야에 집중 투자하는 것이 분산 지원보다 효과적이며 산업의 발전 방향과 궤를 같이하는 방법"이라고 말했다.
◆'사격(社格)' 높여 구직자 유인해야
인재경영 전문가인 가재산 조인스HR 대표는 고학력 청년실업 문제의 원인을 '근로 의욕의 퇴화'로 요약했다. 공무원,공기업 직원,교사 등 비교적 안정적인 직업에 젊은 구직자들이 몰려드는 현상도 여기서 비롯됐다는 얘기다.
하지만 이런 성향을 탓하기만 할 것이 아니라 적극적인 인재 유인책을 고안하고,일단 채용했다면 키우는 데 책임을 져야 한다고 그는 강조했다. 가 대표는 "수도권에서 평일 골프가 성황인 이유가 강남 아줌마들과 중소기업 사장들 덕분이라는 말이 있다"며 "인재가 중요하다면서 정작 인재 교육에 과감히 돈 쓸 줄 아는 중소기업 CEO가 얼마나 되는지 되짚어봐야 할 것"이라고 꼬집었다.
한영수 중소기업중앙회 부회장(한양넉스 회장)은 "시설투자도 좋지만 문화경영,복지경영 등을 통한 품격 있는 기업을 먼저 만드는 게 순리"라며 "아울러 단기간의 임금 복지 수준은 대기업보다 못하지만 포괄적인 업무능력 향상 등을 고려할 경우 중소기업에서의 생애임금이 더 많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는 등 입사가 그들에게 왜 이익인지를 명확히 제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인재경영에 투자할 여력 키워줘야
구직자들의 중소기업 취업을 유도하기 위해선 '비용과 효율'을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민화 중소기업 호민관은 "채용 보조금 등 직접 지원은 고용유지 비용을 감안할 때 배보다 배꼽이 더 크다"며 "유명무실화돼 있는 스톡옵션제 등을 활성화해 기업이 구직자에게 제시할 카드를 더 많이 만들어 줘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궁극적으로는 중소기업이 성공해야 우수 인재가 몰리고 인재경영도 가능한 것"이라며 "국내 중소기업의 70%가 B2B 형태의 납품업체인 만큼 대기업 등과의 거래에서 적정한 수익을 보장받을 수 있는 선순환 배분구조를 빨리 만들어 나가는 것도 시급하다"고 말했다.
인재경영에 투자할 여력을 만들어 주는 것도 정부의 몫이라는 지적이다. 손민중 삼성경제연구소 연구위원은 "사업주가 부담하는 4대 사회보험료를 정부가 상당부분 지원하는 방안도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라며 "현재 프랑스는 '고용촉진 계약'을 통해 장기 실업자를 고용하는 기업에 사회보장비를 면제하고 보조금도 지급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관우 기자 leebro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