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너 일가의 보유 주식 의결 및 처분 위임권 제공으로 중대 고비를 넘긴 금호타이어 회생 계획이 이번엔 '노조 버티기'라는 암초를 만났다.

금호타이어 노조는 10일 오전 광주 공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채권단이 제시한 1377명에 대한 구조조정안을 받아들일 수 없다"며 채권단이 요구하는 쟁의행위 금지 동의서 제출을 거부했다.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은 이에 대해 "채권단이 결의한 1000억원의 자금을 지원할 수 없다"고 못박았다.

금융당국 고위 관계자는 "채권단은 지난해 쌍용자동차 처리 과정에서 적용했던 원칙을 이번에도 그대로 적용할 것"이라며 "금호타이어 회사와 노조도 이 점을 유념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77일간의 불법 농성으로 수천억원대의 피해를 남긴 '쌍용차 악몽'의 재연을 경고한 것이다. 당시 쌍용차 노조는 희망퇴직 등의 구조조정안을 받아들일 수 없다며 도장 공장 등을 불법 점거했었다.

강성 노조는 금호타이어의 경쟁력 쇠퇴 요인 가운데 핵심으로 꼽히고 있다. 작년 3분기엔 글로벌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7.48%의 임금 인상을 요구하며 파업을 벌여 3분기 약 1000억원의 매출 손실을 내는 피해를 입혔다. 당시 노조는 8000만원 이상 고임금을 받는 직원이 전체의 30% 선인 1300여명에 달해 따가운 눈총을 받기도 했다.

금호타이어 노조 관계자는 이에 대해 "2002년 이후 신규 채용이 전무해 노동 강도가 타이어 3사 가운데 가장 높다"며 "평균 임금이 높은 이유도 근속 연수가 높은 근로자들이 많기 때문"이라고 반박했다.

박동휘/이심기 기자 donghui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