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중소기업보다는 크지만 대기업에는 미치지 못하는 중견기업들을 육성하는 방안을 강구중이라는 소식이다. 현재 법에 명시되지 않은 중견기업의 범위를 구체적으로 정하는 한편 이들에 대한 각종 지원 방안을 담은 '중소 · 중견기업 육성책'을 마련해 다음 달 이명박 대통령이 주재하는 비상경제대책회의나 국가고용전략회의에서 확정할 계획이라는 것이다.

바람직한 일이다. 우리가 누차 지적해왔듯 중견기업 지원책은 보통 시급한 과제가 아니다. 기업이 성장해 법률상의 중소기업을 졸업하게 되면 각종 혜택이 순식간에 사라지는 것은 물론 덩치가 큰 대기업과의 경쟁에 그대로 노출돼 고전을 면치 못해온 경우가 허다한 까닭이다. 그로 인해 적지 않은 기업들은 중소기업으로서의 혜택을 계속 누리기 위해 외형이 커지면 회사를 몇 개로 쪼개는 식의 편법까지 마다하지 않아온 게 현실이다.

정부는 중소기업법 상의 중소기업(상시근로자 300명 미만 또는 자본금 80억원 이하)과 중소기업 제외기준(종업원 1000명 이상 또는 자산총액 5000억원 이상) 가운데 어느 쪽에도 속하지 않는 기업을 중견기업으로 지정하는 방안 등을 검토중인 모양이다. 또 이들에 대해선 현재 적용되는 법인세율 22%를 16%로 깎아주는 등 각종 세제지원도 강구(講究)하고 있다고 한다. 아울러 국책은행과의 거래 유지 등을 통해 저리 자금을 쓸 수 있게 하고,저신용 중견기업은 보증지원을 계속 제공하는 방안도 모색하고 있다고 한다.

중요한 것은 중견기업 육성책은 기업들의 의견을 적극 수렴하면서 그들에게 실질적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알맹이 있는 내용으로 짜여져야 한다는 점이다. 특히 연구개발(R&D) 투자를 많이 하는 혁신형 중견기업들의 경우는 기술개발 자금에 대해서도 융자와 보증 혜택 등을 늘려 기술 혁신 및 국내산업의 경쟁력 향상을 도모하지 않으면 안될 것이다.

중견기업은 산업구조상 허리에 해당한다. 이들을 적극 육성해야만 대기업과 중소기업으로 양분돼 호리병 모양을 한 우리 산업구조를 허리가 튼튼한 항아리형으로 바꿔나갈 수 있다. 그래야만 제2의 삼성, 제2의 현대차 같은 기업도 나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