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주택대출 금리] 가산금리 부담되는데 COFIX로 갈아탈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CD 연동 대출과 금리 수준 비슷하지만 변동성 낮아 안정적
금리 상승할 때 유지
금리 상승할 때 유지
은행들은 이르면 다음 달 말,늦어도 3월 초까지는 새 주택담보대출 기준금리인 자금조달비용지수(COFIX)에 연동한 주택담보대출 상품을 내놓을 예정이다.
COFIX는 정기예금 정기적금 등 다양한 조달 수단의 금리를 평균한 값이어서 양도성 예금증서(CD) 금리 연동형 대출에 비해 금리의 변동성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COFIX 기준 대출이 CD 연동 대출보다 무조건 유리하다고는 할 수 없어 대출자들은 금리와 대출 조건 등을 자세히 비교해 보고 유리한 방식을 선택해야 한다.
◆금리 상승기에는 COFIX가 유리
금리만으로는 COFIX 기준 대출과 CD 연동 대출 중 어느 쪽이 유리할지 판단하기 어렵다. 현재로서는 COFIX 연동 대출의 금리도 연 5% 중후반으로 CD 연동 대출과 큰 차이가 없는 수준에서 결정될 것이라는 게 은행권의 일반적인 전망이다. 기준금리에 덧붙이는 가산금리는 COFIX 연동 대출이 CD 연동 대출보다 낮게 책정되겠지만 COFIX 자체가 CD 금리보다 높을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현재 은행권이 추산하고 있는 COFIX는 잔액 기준 연 4% 안팎,신규 수신액 기준 연 3.5% 안팎으로 3개월 만기 CD 금리(연 2.88%)보다 높다.
다만 시행 초기 COFIX 대출을 정착시키기 위해 은행들이 전략적으로 CD 연동 대출보다 낮은 금리를 제시할 가능성이 크다.
금리 상승 위험을 줄인다는 측면에서는 CD보다 COFIX 연동 대출이 유리하다. CD 연동 대출은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할 경우 CD 금리가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금리가 급등할 수 있지만 COFIX 대출은 CD 외에도 다양한 조달 수단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일부 항목의 금리가 상승하더라도 전체적인 금리 상승폭은 제한받는다. 따라서 요즘처럼 앞으로 금리 상승이 예상되는 시점에서는 COFIX 대출을 받는 것이 낫다. 그러나 금리 하락기에는 COFIX 대출의 금리가 CD 연동 대출보다 느리게 하락할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COFIX 대출을 받기로 했다면 잔액 기준 대출과 신규 수신액 기준 대출 중 어느 것을 선택할지 결정해야 한다. 잔액 기준은 은행 총 수신 금액의 금리를 평균한 것이고 신규 수신액 기준은 최근 한 달간 새로 조달한 자금의 금리를 평균한 것이다.
대출금리의 변동성을 줄이고 싶다면 잔액 기준 COFIX 대출을 받는 것이 유리하고 금리 하락기에 금리 인하폭을 늘리고 싶다면 신규 수신액 기준 COFIX 대출이 유리하다.
◆가산금리 높다면 갈아타기 검토할 만
기존에 CD 연동 주택담보대출을 받은 입장이라면 자신에게 적용되고 있는 가산금리 수준에 따라 COFIX 연동 대출로 갈아탈지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주택담보대출에 적용되는 가산금리가 비교적 낮았던 2008년 말 이전에 대출받은 사람은 굳이 갈아타기를 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지난 2008년 10월1일 우리은행에서 주택담보대출을 받은 사람은 0.9~2.2%의 가산금리가 적용돼 현재 연 3.78~5.08%의 이자를 내고 있다. 앞으로 CD 금리가 1%포인트 오르더라도 대출금리가 연 4.78~6.08%에 불과해 예외적인 경우가 아니라면 연 5% 중후반으로 예상하는 COFIX 대출보다 금리가 낮게 유지된다. 따라서 기존 대출을 유지하는 것이 낫다.
그러나 은행들이 가산금리를 대폭 올린 2009년 이후 대출자들은 COFIX 대출로 전환을 생각해 봐야 한다. 지난해 10월1일 우리은행에서 주택담보대출을 받은 사람은 2.5~3.32%의 가산금리를 적용받았다. 이들은 현재 연 5.24~6.06%의 이자를 내고 있다. 이 경우 앞으로 CD 금리가 0.5%포인트 정도만 올라도 대출금리가 COFIX 대출보다 높아질 수 있기 때문에 갈아타기를 할 만하다.
갈아타기를 결심했다면 가급적 빠른 시간 안에 행동에 옮기는 것이 좋다. 은행들은 COFIX 연동 대출을 시작한 이후 6개월 간 중도 상환 수수료 등 대출 갈아타기를 할 때 소요되는 부대비용을 받지 않기로 했다. 또 담보인정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도 대출 전환 시점이 아닌 최초 대출 시점을 기준으로 적용할 계획이다. 6개월이 지나면 은행들이 이 같은 혜택을 축소하거나 없앨 수 있어 대출 전환에 따르는 비용이 늘어날 수 있다.
유승호 기자 usho@hankyung.com
COFIX는 정기예금 정기적금 등 다양한 조달 수단의 금리를 평균한 값이어서 양도성 예금증서(CD) 금리 연동형 대출에 비해 금리의 변동성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COFIX 기준 대출이 CD 연동 대출보다 무조건 유리하다고는 할 수 없어 대출자들은 금리와 대출 조건 등을 자세히 비교해 보고 유리한 방식을 선택해야 한다.
◆금리 상승기에는 COFIX가 유리
금리만으로는 COFIX 기준 대출과 CD 연동 대출 중 어느 쪽이 유리할지 판단하기 어렵다. 현재로서는 COFIX 연동 대출의 금리도 연 5% 중후반으로 CD 연동 대출과 큰 차이가 없는 수준에서 결정될 것이라는 게 은행권의 일반적인 전망이다. 기준금리에 덧붙이는 가산금리는 COFIX 연동 대출이 CD 연동 대출보다 낮게 책정되겠지만 COFIX 자체가 CD 금리보다 높을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현재 은행권이 추산하고 있는 COFIX는 잔액 기준 연 4% 안팎,신규 수신액 기준 연 3.5% 안팎으로 3개월 만기 CD 금리(연 2.88%)보다 높다.
다만 시행 초기 COFIX 대출을 정착시키기 위해 은행들이 전략적으로 CD 연동 대출보다 낮은 금리를 제시할 가능성이 크다.
금리 상승 위험을 줄인다는 측면에서는 CD보다 COFIX 연동 대출이 유리하다. CD 연동 대출은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할 경우 CD 금리가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금리가 급등할 수 있지만 COFIX 대출은 CD 외에도 다양한 조달 수단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일부 항목의 금리가 상승하더라도 전체적인 금리 상승폭은 제한받는다. 따라서 요즘처럼 앞으로 금리 상승이 예상되는 시점에서는 COFIX 대출을 받는 것이 낫다. 그러나 금리 하락기에는 COFIX 대출의 금리가 CD 연동 대출보다 느리게 하락할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COFIX 대출을 받기로 했다면 잔액 기준 대출과 신규 수신액 기준 대출 중 어느 것을 선택할지 결정해야 한다. 잔액 기준은 은행 총 수신 금액의 금리를 평균한 것이고 신규 수신액 기준은 최근 한 달간 새로 조달한 자금의 금리를 평균한 것이다.
대출금리의 변동성을 줄이고 싶다면 잔액 기준 COFIX 대출을 받는 것이 유리하고 금리 하락기에 금리 인하폭을 늘리고 싶다면 신규 수신액 기준 COFIX 대출이 유리하다.
◆가산금리 높다면 갈아타기 검토할 만
기존에 CD 연동 주택담보대출을 받은 입장이라면 자신에게 적용되고 있는 가산금리 수준에 따라 COFIX 연동 대출로 갈아탈지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주택담보대출에 적용되는 가산금리가 비교적 낮았던 2008년 말 이전에 대출받은 사람은 굳이 갈아타기를 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지난 2008년 10월1일 우리은행에서 주택담보대출을 받은 사람은 0.9~2.2%의 가산금리가 적용돼 현재 연 3.78~5.08%의 이자를 내고 있다. 앞으로 CD 금리가 1%포인트 오르더라도 대출금리가 연 4.78~6.08%에 불과해 예외적인 경우가 아니라면 연 5% 중후반으로 예상하는 COFIX 대출보다 금리가 낮게 유지된다. 따라서 기존 대출을 유지하는 것이 낫다.
그러나 은행들이 가산금리를 대폭 올린 2009년 이후 대출자들은 COFIX 대출로 전환을 생각해 봐야 한다. 지난해 10월1일 우리은행에서 주택담보대출을 받은 사람은 2.5~3.32%의 가산금리를 적용받았다. 이들은 현재 연 5.24~6.06%의 이자를 내고 있다. 이 경우 앞으로 CD 금리가 0.5%포인트 정도만 올라도 대출금리가 COFIX 대출보다 높아질 수 있기 때문에 갈아타기를 할 만하다.
갈아타기를 결심했다면 가급적 빠른 시간 안에 행동에 옮기는 것이 좋다. 은행들은 COFIX 연동 대출을 시작한 이후 6개월 간 중도 상환 수수료 등 대출 갈아타기를 할 때 소요되는 부대비용을 받지 않기로 했다. 또 담보인정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도 대출 전환 시점이 아닌 최초 대출 시점을 기준으로 적용할 계획이다. 6개월이 지나면 은행들이 이 같은 혜택을 축소하거나 없앨 수 있어 대출 전환에 따르는 비용이 늘어날 수 있다.
유승호 기자 ush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