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10년 01월 13일 12시 00분 이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국가별 맞춤전략 │- 턴키발주 가능 지역 정부간 협력 본격화 │
│ │- 플랜트 수출 제약 및 기술이전 요구 지역 기자재.용역수│
│ │ 출 주력 │
│ │- 원전도입기반 취약국 인프라 구축 지원 │
│ │- 88조원 규모 노후 원전 운영.정비시장 진출 │
├─────────┼───────────────────────────┤
│원전기술 자립화 │- 2012년까지 원전설계코드, 원자로 냉각재펌프, 원전제어│
│ │ 계측장치 등 핵심기술 자립화 완료 │
│ │- 2017년까지 4천억 원 규모 신규 연구.개발(R&D) 프로젝 │
│ │ 트 추진. 수명단축.공기연장, 노심 손상빈도 개선 │
│ │- 유럽.미국 설계기준 충족을 위한 R&D지원 │
│ │- 중소형 원전.연구로 수출형 모델 조기개발 │
│ │- 초고온가스로 등 미래형 원전 개발 │
├─────────┼───────────────────────────┤
│전문인력 양성 │- 한전 등 5대 공기업 정원조정.신규채용 확대 │
│ │ 원전수출 및 R&D 인력은 바로 충원 │
│ │- 한수원 1천 명 등 인턴사원 채용 통한 예비인력 확보 │
│ │- 국제원자력 전문대학원 2011년 9월 조기개교 │
│ │- 10개 원전 특성화대학 지정 │
├─────────┼───────────────────────────┤
│안정적 원료확보 │- 우라늄 자주개발률 2016년 25%, 2030년 50% 확대 │
│ │- 해외 농축공장 지분참여 확대.국내성형가공 생산시설 │
│ │ 확충 │
├─────────┼───────────────────────────┤
│기자재 공급확충 │- 외국 업체와 전략적 제휴, 합작투자 강화 │
│ │- 고부가가치 핵심 기자재 중심 인력 공급 강화.중견기업 │
│ │ 육성 │
├─────────┼───────────────────────────┤
│수출체제 강화 │- 한전 내 원전 수출 전담조직 신설 │
│ │- 한수원, 한전기술 등 원자력 공기업 수출지원조직 보강 │
│ │- 수직계열화된 원전 사업체계 구축 검토 │
│ │- 주요 세계 원전기업과 전략적 제휴 추진 │
└─────────┴───────────────────────────┘
(서울=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