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은 4일 "올해는 남북관계에도 새 전기를 만들어내야 한다"며 남북 정상회담에 대한 의지를 피력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신년 국정연설을 통해 "남북 사이에 상시적 대화를 위한 기구를 마련해야 한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북한이 조속히 6자회담에 복귀하길 촉구한다"며 "한반도 비핵화가 진전되고 본격적인 남북 협력의 물꼬가 트이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또 "올해는 6 · 25 60주년이 되는 해"라며 "북한에 묻혀 있는 국군용사들의 유해 발굴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상시적 대화 기구는 이 대통령이 2008년 4월 미국 워싱턴포스트와의 회견에서 제의한 '서울 · 평양 고위급 연락사무소'를 뜻한다.

이 대통령은 연설 후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남북 정상회담 문제에 대해 "우리 쪽에서 목매던 상황에서 바뀌었으니 긍정적"이라고 밝혔다. 북한도 최근 남북관계 개선 의지를 보이고 있고 재일본 조선인총연합회 기관지인 조선신보가 남북 정상회담 가능성을 우회적으로 언급한 바 있다. 이에 따라 남북대화 채널 복원과 함께 올해 중 정상회담이 열릴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 대통령은 이와 함께 3대 국정운영 기조로 △글로벌 외교 강화 △경제활력 제고 및 선진화 개혁 △친서민 중도실용 정책 기조를 내세웠다. 5대 핵심 과제로는 △경제 회생 △교육 개혁 △지역 발전 △정치 선진화 개혁 △전방위 외교를 제시했다. 이 대통령은 "올해 첫 번째 국정과제는 누가 뭐라 해도 경제를 살리는 것이고 그 핵심은 일자리를 만드는 것으로 올해'일자리 정부'로 자리매김하겠다"면서 "매달 국가고용전략회의를 열어 정책을 발굴하고 점검하겠다"고 말했다. 또 "상반기에 비상경제 체제를 끝내고 하반기에는 서민들도 경제 회복의 온기를 체감할 수 있도록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다짐했다. 이어 "혁신도시 기업도시 경제자유구역 등이 조기에 활성화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과 재정 지원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더 큰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해 새해에는 특별히 아프리카 외교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정치 선진화와 관련,"배타적 지역주의를 완화하고 대결 정치를 극복하기 위한 선거제도 개혁도 반드시 올해 완수해야 할 과제"라고 역설했다.

홍영식 기자 y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