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상원에서 핵에너지 활용 문제가 기후법안 처리 과정에서 핵심쟁점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는 민주당 상원의원들이 기후법안 처리를 놓고 공화당 의원들의 지지를 끌어내기 위한 타협안으로 핵에너지 문제에 긍정적으로 접근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는 관측에 따른 것이다.

이와 관련, AP통신은 민주당이 상원에서 공화당의 의사진행방해를 의식하지 않고 법안을 처리할 수 있는 60표를 아직 확보하지 못한 상황이어서 법안 처리에 적극적이지 않은 민주당 중도파와 일부 공화당 의원들의 지지를 끌어내기 위해 핵에너지 문제를 타협안으로 제시할 가능성이 있다고 25일 보도했다.

이런 기류는 상원에서 3개 위원회가 이번 주에 기후변화법안 처리를 위한 청문회를 개최할 예정이어서 더욱 관심을 끌고 있다.

미국에서는 31개 주 104개 핵발전소에서 미국 필요 전력의 5분의 1을 공급하고 있다.

관련업계에서는 2050년까지 발전소와 주요 대규모 공단시설에서 나오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80%까지 감축하겠다는 목표를 달성하려면 핵발전소를 대거 건설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미국전력연구소는 2030년까지 45개의 새로운 원자로 건설이 필요하다고 밝혔으며 에너지정보국은 이보다 훨씬 많은 70개 원자로 건설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환경보호국(EPA)은 80%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달성하려면 2050년까지 180개의 새로운 원자로가 건설되어야 한다는 분석도 내놓고 있다.

이에 대해 마빈 페르텔 핵에너지연구소 소장은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하면서 전력을 생산하기를 원한다면 핵이 반드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해야 한다"고 밝혔다.

(워싱턴연합뉴스) 김재홍 특파원 jaeho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