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기술을 통해 거둬들이는 매출이 전체의 절반을 넘어야 정부로부터 녹색기업 인증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기존 사업의 매출 규모가 큰 대기업보다는 환경 에너지 등 분야의 전문기업이나 신규로 녹색사업에 진출하는 중견 · 중소기업들이 인증을 받는 데 유리할 전망이다. 녹색기업 인증을 받을 경우 해당 기업에 투자하는 펀드나 각종 금융상품들은 세제혜택을 받는다.

기획재정부 고위관계자는 6일 "현재 마련 중인 녹색기업 인증제도 방안에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LG전자 등과 같은 유력 대기업들은 포함되지 않을 것"이라며 "자금력과 기술력을 동시에 갖추고 있는 대기업들이 무더기로 인증받을 경우 녹색펀드나 채권의 투자쏠림 현상이 나타나 중견 · 중소기업들이 피해를 입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녹색사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전 산업계로 확산시킨다는 목표를 갖고 있는 정부로선 자체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는 대기업보다는 기술력은 있으나 자금력은 상대적으로 취약한 중견 · 중소기업들을 정책적으로 배려할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정부는 이를 위해 매출 비중과 시가총액 등을 기준으로 대기업 인증을 제한한다는 방침이다. 정부 내에선 녹색기술을 통해 달성하는 매출이 전체의 절반을 넘어 60~70%에 달하는 기업들을 우선적으로 인증해줘야 한다는 공감대가 확산되고 있다. 이 경우 △태양광 풍력발전 등 신재생에너지 △자전거도로 등 환경친화적인 프로젝트나 녹색산업을 주력으로 하는 전문 기업에 집중적으로 투자 자금이 유입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정부는 또 매출 기준 외에 시가총액을 기준으로 일정 규모 이상의 대기업들을 원천적으로 배제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시가총액이 큰 대기업들이 인증을 받을 경우 투자 쏠림현상으로 전체 주식시장의 자금흐름이 왜곡될 수도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정부는 녹색매출 비중을 일시적으로 높였다가 줄이는 현상을 차단하기 위해 녹색기업을 매년 새로 지정할 계획이다.

박신영 기자 nyus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