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지난 2분기 실질 GNI(국민총소득)가 전분기대비 5.6%의 증가율을 보여 21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한국은행이 어제 발표한 '2분기 국민소득(잠정)'에서 나타난 것으로 실질 GDP(국내총생산) 증가율도 2.6%에 이르렀고,특히 제조업생산이 35년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전기 대비 8.9%,민간소비는 3.6%의 증가세를 보였다. 우리 경제의 뚜렷한 회복세를 기대할 수 있는 지표라는 점에서 더없이 반가운 일이다.

지표상으로는 '깜짝 성장'임에 분명하고, 조심스럽게 경기바닥을 점쳐볼 만한 것도 사실이다. 그럼에도 이 같은 2분기 실적이 지난해 금융위기 이후 급속한 경기 추락에 따른 기저효과로 얻어진 측면이 많고,더구나 생산 소비 수출 투자 등 대부분의 경제지표들이 전년 동기 대비로는 여전히 마이너스 상태를 면치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착시(錯視)를 경계하지 않을 수 없다.

무엇보다 3분기와 그 이후에도 이 같은 성장세를 이어갈 수 있을지 낙관하기 어렵다. 어제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열린 비상경제대책회의 보고에서도 7월 광공업과 서비스생산은 나아지는 흐름이 지속됐으나 소비재판매와 설비투자가 각각 전월비 1.6%,11.6% 줄었고,수출도 여전히 감소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더구나 2분기의 큰 폭 성장을 가능케 했던 재정지출 확대 또한 하반기에는 제약을 받을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결국 경기회복과 성장으로의 반전을 위해서는 투자와 소비확대가 관건이 아닐 수 없다. 정부가 하반기중 재정잔액을 앞당겨 투입하면서 올해 계획된 59조원의 공기업 투자를 독려키로 한것도 성장둔화 가능성을 우려한 때문이다. 차질없는 재정집행과 조기투자가 이뤄져야 하고,특히 민간투자가 활성화될 수 있는 획기적 유인책을 강구하는 것이 어느 때보다 시급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