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률 올해 -1%대..국가 신용등급 A유지

국제 신용평가사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2.3~-2.8%에서 -2.0~-1.5%로 상향 조정하기로 했다.

그러면서 한국의 신용등급은 `A'에서 상당기간 유지될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금융기관 신용등급에 대해서는 `부정적' 전망을 유지하기로 했다.

S&P는 21일 서울 외환은행 본점에서 국제금융센터가 주최한 `세계경제 현안 및 한국 신용 전망' 세미나와 이에 앞서 웨스틴조선호텔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이같이 밝혔다.

수비르 고칸(Subir Gokarn) S&P 아시아·태평양 지역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한국 경제는 2분기에 1분기 부진을 상쇄할 만큼 좋은 실적을 보였다"며 "내년에는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4%를 웃돌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한국 등 아시아가 경기회복을 시작했고 지속가능성은 상당하다고 본다"며 확장적 통화정책, 재정을 통한 경기부양, 중국의 수입 등을 긍정적 전망의 배경으로 꼽았다.

다만 "유가 등 국제원자재 가격의 급등 가능성, 외부요인으로 인한 국제수지 악화, 금리인상 압박에 따른 민간소비 저하가 리스크 요인"이라며 "세계 경제 침체가 장기화하면 내년에 수출이 늘더라도 상승효과는 둔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시장금리 상승 현상과 관련해서는 "정부가 경기 부양을 위한 자금을 조달하려다 보니 민간 수요가 아직 회복되지 않은 상황에서 국공채 등 장기금리를 중심으로 오르고 있다"고 진단했다.

데이비드 와이스(David Wyss)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세계 경제가 거의 바닥을 치고 회복되고 있다"면서 "아시아 국가들의 금리 인상은 내년 상반기 말에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은 내년 하반기쯤 돼야 실업률이 떨어지기 시작하면서 금리 인상 가능성이 있으며, 유럽은 그보다 더 빨리 인상이 단행될 것으로 내다봤다.

킴응 탄(Kim Eng Tan) 정부 및 국제재정 신용평가 담당 국장은 "한국의 현 신용등급 A는 1~2년 내 변동가능성이 30% 미만일 정도로 안정적"이라며 "소득, 정부부채, 단기채무 상황이 모두 A등급 국가의 평균 수준"이라고 말했다.

탄 국장은 "다만 한국은 북한이라는 우발적 요소 때문에 불확실성이 크고, 수출의존도가 높고, 가계부채가 다시 증가하고 있는 게 문제"라고 말했다.

한편, 한국 금융기관들의 신용등급과 관련해 권재민 한국기업 및 정부부문 신용평가 담당 상무는 "부정적 전망을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권 상무는 "2분기 한국의 경기 회복세가 예상보다 빠르고 금융기관의 자산건전성 악화속도가 예상보다 둔화했지만 이는 정부의 만기연장 등 신용공급 조치에 힘입은 바가 컸다"고 평가했다.

그는 "지난 3년간 금융기관들은 경제가 15% 성장할 동안 중소기업에 여신공급을 53% 늘렸을 정도로 신용을 지나치게 많이 공급했다"며 "정부의 신용공급 지원은 올해 하반기부터 현저히 둔화할 것이기 때문에 금융기관의 신용비용은 늘어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또 "최근 양도성예금증서(CD) 금리가 오르는 것에서 볼 수 있듯 주택담보대출 등 가계 부문의 대출금리가 올라가면 이자 상환 부담이 커져 금융기관의 부실채권이 많아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서울연합뉴스) 이 율 홍정규 기자 yulsid@yna.co.krzhe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