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땡볕에 뭐하는 건지 모르겠어요. 힘 있는 사람들이 이미 통과시킨 미디어법을 투쟁으로 바꿀 수 있답니까."

29일 경기도 안산 상록수역 앞에서 만난 전업주부 P씨(36)는 지난 28일부터 '100일 투쟁'에 나선 민주당을 보고 한숨부터 내쉬었다. "잘 모르는 제가 봐도 처리과정은 분명 잘못된 것 같아 서명하긴 하지만 이걸로 해결이 될지 모르겠다"며 고개를 갸우뚱하기도 했다. P씨뿐만이 아니다. 상록수역 앞을 지나가던 대학생 K씨(24)는 "표결처리 과정에서의 대리투표나 재투표에 대해 헌법재판소의 판결을 기다리고는 있지만 정부와 여당,방송통신위원회가 시행 준비를 하고 있는 마당에 이미 물건너간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지난 28일 저녁 북적대는 신촌 사거리에서 만난 대학생 K씨(25)는 "미디어법 통과 절차에 문제가 있다는 건 알지만 투쟁만이 근본해결책은 아니다"고 지적했다.

물론 민주당의 장외투쟁에 지지를 보내는 사람도 있었다. '언론악법 원천무효' 서명운동에 참가한 한 직장인(36)은 "국회만큼은 민의의 전당으로 미디어법 반대여론이 반영돼야 할 곳"이라고 꼬집었다. "한나라당이 언론까지 장악하려는 것 아니냐"(22 · 대학생)며 분통해하는 이도 만날 수 있었다. 길거리 민심을 확인한 민주당의 고민도 깊다. 민주당은 당초 '국민 속으로'라는 기치로 이번 주엔 서울 경기 지역,8월엔 매주 전국을 돌며 '100일 투쟁'을 이어가기로 했다. 이를 통해 미디어법의 원천무효를 이끌어내고 10월 재보선은 물론 내년 지방선거까지 우호적 민심을 몰아가겠다는 전략이다.

하지만 장외투쟁의 동력을 100일 동안 유지할 수 있을지 당내에서도 벌써부터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정세균 대표가 지적한 것처럼 휴가철이라는 시기적 한계와 자칫 '투쟁 정당' 이미지가 굳어질 수 있다는 게 부담이다. 홍보본부장을 맡은 최재성 의원은 "첫주에 수도권을 돌기로 했지만 첫 번째 주가 가장 중요하다고 본다"며 "당에 건의해 이번 주말에 김형오 국회의장의 지역구인 부산 영도지역에서 대대적인 시국대회를 갖는 등 영남지역을 우선 공략하는 방향으로 전략을 수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안산=민지혜 기자 spo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