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연합사령부가 28일 대북정보감시태세인 '워치콘'을 3단계에서 2단계로 올림에 따라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워치콘 격상은 북한의 1차 핵실험 직후인 2006년 10월15일 이후 2년7개월여 만이다. 워치콘은 도발위협이 심각하다고 판단될 때 한 · 미가 합의해서 올리기 때문에 우리 군이 이미 북한의 도발징후를 포착한 것이 아니냐는 관측을 낳고 있다.

원태재 국방부 대변인은 "아직 북한의 특이동향은 포착되지 않고 있다"면서 "그러나 한 · 미 정보 · 작전 관계자들이 판단하고 한 · 미 양국 간 합의에 따라 현재의 위협과 잠재적인 위협,예상되는 위협을 모두 판단해 취해진 조치"라고 말했다. 예상되는 북의 위협 등을 판단해 선제적인 조치를 취했다는 의미다. 합동참모본부 박성우 공보실장도 "북한이 핵실험 이후 수차례 단거리 미사일을 발사하고 서해 5도(백령도 · 대청도 · 소청도 · 연평도 · 우도)의 선박 안전 항해를 위협하는 등 최근 북한 동향을 평가할 때 좀 더 동향을 세밀히 감시할 필요성이 있어 워치콘을 격상했다"고 설명했다.

한 · 미 군 당국은 워치콘이 격상됨에 따라 U-2 고공전략정찰기와 RF-4 정찰기를 비롯한 휴전선 일대의 통신 · 신호 첩보수집 장비와 대북 감시 레이더망을 총가동해 북한 군의 동향을 정밀 분석 중이다. 군은 특히 단거리 미사일 발사 징후가 포착되고 있는 북방한계선(NLL)과 대규모 병력이 대치 중인 비무장지대(DMZ) 및 군사분계선(MDL),그리고 분단의 상징인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등에서 긴장의 끈을 늦추지 않고 있다. 특히 서해 NLL 주변은 어선의 항해가 잦고 서해 5도와 북한 황해도 간 거리가 수킬로미터에 불과해 충돌 가능성이 가장 높은 곳으로 꼽히고 있다. JSA의 경우 다른 곳에 비해 공개된 장소이고 DMZ와 MDL에선 주로 산발적인 소총 및 기관총 충돌이 일어났다는 점에서 상대적으로 서해NLL 주변의 긴장이 그 어느 곳보다 높다.

서해 NLL에서 충돌이 벌어진다면 1 · 2차 연평해전이 벌어졌던 연평도 부근일 가능성이 높다는 예상이다. 이 곳은 북한의 군사요충지인 해주항과 등산곶을 마주보고 있어 북한 경비정의 첫 타격 지점이 될 개연성이 다분하다. 도발 시나리오는 어선과 경비정으로 남한의 구축함을 NLL 외곽으로 유인한 뒤 기습적으로 단거리 미사일을 발사하는 것이 가장 유력하다. 함정 대 함정 간 대결로는 최첨단 무기체계로 무장한 우리 군을 이길 수 없기 때문이다. 한 군사전문가는 "북한은 승산 없는 함정 대결을 피하고 미사일로 아군 함정을 공격할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했다. 샘릿과 실크웜 등 북한 지대함 미사일은 단 한 발로 우리 함정에 치명타를 줄 정도로 위력적이다. 2002년 2차 연평해전 때도 우리 초계함들은 도주하는 북한 경비정을 쫓다 북한의 미사일 발사 징후를 포착하고 추격을 포기하기도 했다.

김태철 기자 synerg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