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승용차 연비 '리터당 16.5㎞' 의무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016년까지 픽업은 12.6㎞로 강화
미국 정부가 자국 시장에서 팔리는 자동차의 평균 연비 기준을 2016년까지 갤런당 35.5마일(ℓ당 15.0㎞)로 상향 조정할 방침이다. 이는 현행 기준인 25마일(10.5㎞)보다 42%나 강화한 것이다.
버락 오마마 대통령은 19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이 같은 내용의 자동차 배기가스 · 지구 온난화 가스 규제안을 발표한다. 새 규제안은 2020년까지 갤런당 평균 35마일을 적용하기로 한 기존 법보다 적용 시기를 4년 앞당기는 것이다. 또 연방정부 차원에서 전국적으로 첫 적용하는 단일 규제다.
새 규제안은 2012년식 차량 모델부터 적용된다. 승용차 모델은 2016년까지 갤런당 평균 39마일(16.5㎞)을,경트럭(픽업) 모델의 경우 평균 30마일(12.6㎞)을 달성토록 했다. 2016년 휘발유 가격이 평균 3.5달러 상승할 것이라는 추정치를 감안했다. 미국 정부가 현재 적용하고 있는 연비 기준은 승용차가 갤런당 27.5마일,경트럭이 23.1마일이다. 제너럴모터스(GM)는 지난해 승용차 29.7마일,경트럭 23.3마일의 평균 연비를 기록했다.
미국 정부는 현행 25마일인 평균 연비 기준을 2016년 35.5마일로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자동차업계가 차량 1대당 평균 1300달러의 개발비를 더 투입해야 할 것으로 추정했다. 다만 추가 개발비는 총 18억배럴에 달하는 연료 절감분으로 상쇄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GM 크라이슬러 도요타 등 11개 자동차업체가 회원사인 워싱턴 소재 자동차제조업체협회(AAM)는 단일 연비 기준이 마련됐다는 점에서 환영을 표시했다. 자동차업계는 주별 연비 규정이 투자비 부담을 대폭 늘린다는 이유로 연방정부가 현실적인 단일 연비를 적용토록 요구해왔다. 전임 부시 대통령은 자체적으로 강화한 연비 규정을 적용할 수 있도록 허용해 달라는 캘리포니아 등 17개 주정부의 요청을 거부했었다.
이번 미국의 연비 규제 강화는 한국 자동차업계에는 일단 호재라는 분석이다. 고연비 소형차 비중이 높아서다. 하지만 하이브리드카 등 친환경차 시장에서는 도요타 혼다 등 일본 업체들과 더욱 치열한 경쟁을 벌일 가능성이 크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워싱턴=김홍열 특파원 comeon@hankyung.com
버락 오마마 대통령은 19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이 같은 내용의 자동차 배기가스 · 지구 온난화 가스 규제안을 발표한다. 새 규제안은 2020년까지 갤런당 평균 35마일을 적용하기로 한 기존 법보다 적용 시기를 4년 앞당기는 것이다. 또 연방정부 차원에서 전국적으로 첫 적용하는 단일 규제다.
새 규제안은 2012년식 차량 모델부터 적용된다. 승용차 모델은 2016년까지 갤런당 평균 39마일(16.5㎞)을,경트럭(픽업) 모델의 경우 평균 30마일(12.6㎞)을 달성토록 했다. 2016년 휘발유 가격이 평균 3.5달러 상승할 것이라는 추정치를 감안했다. 미국 정부가 현재 적용하고 있는 연비 기준은 승용차가 갤런당 27.5마일,경트럭이 23.1마일이다. 제너럴모터스(GM)는 지난해 승용차 29.7마일,경트럭 23.3마일의 평균 연비를 기록했다.
미국 정부는 현행 25마일인 평균 연비 기준을 2016년 35.5마일로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자동차업계가 차량 1대당 평균 1300달러의 개발비를 더 투입해야 할 것으로 추정했다. 다만 추가 개발비는 총 18억배럴에 달하는 연료 절감분으로 상쇄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GM 크라이슬러 도요타 등 11개 자동차업체가 회원사인 워싱턴 소재 자동차제조업체협회(AAM)는 단일 연비 기준이 마련됐다는 점에서 환영을 표시했다. 자동차업계는 주별 연비 규정이 투자비 부담을 대폭 늘린다는 이유로 연방정부가 현실적인 단일 연비를 적용토록 요구해왔다. 전임 부시 대통령은 자체적으로 강화한 연비 규정을 적용할 수 있도록 허용해 달라는 캘리포니아 등 17개 주정부의 요청을 거부했었다.
이번 미국의 연비 규제 강화는 한국 자동차업계에는 일단 호재라는 분석이다. 고연비 소형차 비중이 높아서다. 하지만 하이브리드카 등 친환경차 시장에서는 도요타 혼다 등 일본 업체들과 더욱 치열한 경쟁을 벌일 가능성이 크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워싱턴=김홍열 특파원 com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