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플라자&파크 내일 착공

오는 2011년 12월쯤 동대문에 서울의 새로운 명물이 탄생하게 된다.

서울시는 동대문운동장을 철거한 자리에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 파크(DDP)'를 짓기 위한 착공식을 28일 연다고 27일 밝혔다.

시는 이 사업에 3천755억원을 투입해 총 6만5232㎡의 부지에 지하 3층, 지상 4층 규모의 디자인플라자와 3만7천398㎡ 크기의 공원(파크)을 조성할 예정이다.

세계적인 건축가인 자하 하디드가 곡선형의 입체적인 건물로 설계한 디자인플라자는 서울을 대표하는 또 하나의 랜드마크(상징물)가 될 것으로 시는 전망하고 있다.

디자인플라자 내부는 컨벤션홀과 디자인 전문 전시관, 박물관, 정보교육센터, 스카이라운지 시설을 갖추게 된다.

플라자 남측에는 걸어서 올라가는 잔디 지붕이 조성되고, 북측 컨벤션홀과 전시관 상부의 지붕에는 계절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세덤(Sedum)'이라는 식물이 심어진다.

디자인파크에는 녹지를 배경으로 건립 부지에서 발굴된 하도감(下都監) 건물의 양식을 보여줄 유구(遺構)가 복원된다.

하도감은 조선시대 훈련도감의 분원이다.

아울러 이곳에서 발굴된 서울성곽과 이간수문(二間水門)도 제 모습을 일부 되찾는다.

이간수문은 남산에서 흘러내린 물을 청계천으로 빼내기 위해 건설한 조선시대 수문 중 하나다.

디자인파크에는 운동장 기념관과 유적전시관도 들어선다.

또 인근 흥인문로 지하와 디자인플라자를 연결하는 약 6천㎡의 지하 문화공간이 조성돼 소규모 전시, 이벤트가 연중 개최된다.

디자인플라자 건물에는 태양열.지열 설비가 설치돼 총 에너지 사용량의 7.2%를 공급하고, 1천300t의 빗물을 재활용할 수 있는 시설이 마련된다.

장애인 등을 위해 LED(발광다이오드) 조명이 깔린 폭 3m 규모의 이동 통로가 별도로 설치되고, 주 출입구에는 장애인들을 위한 봉사센터가 생긴다.

박성근 서울시 문화시설사업단장은 "DDP는 도심상권을 부활하는 계기가 되고, 서울이 세계적인 디자인 도시로 도약하는 발판이 될 것"이라며 "관광객 유치 효과도 클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착공식에는 오세훈 서울시장과 설계자인 자하 하디드씨, 디자이너 앙드레 김 등 1천여 명이 참석한다.

(서울연합뉴스) 문성규 기자 moonsk@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