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드규모는 대부분 '자투리'

코스닥시장이 7일 연속 상승, 500선을 돌파하는 등 최근 폭발적인 장세를 연출하고 있는 데 힘입어 `코스닥펀드'도 고공행진하고 있다.

15일 펀드평가사인 제로인에 따르면 14일 기준으로 코스닥 관련 펀드의 6개월 수익률은 최고 55%에서 최저 23%를 기록, 높은 수익률을 보였다.

같은 기간 코스닥지수의 등락률은 37.77%를 기록했다.

이에 비해 국내 주식형펀드 695개의 유형 평균수익률은 5.67%에 그쳤으며, 코스피지수 등락률도 3.86%에 머물러 대조를 이뤘다.

가장 수익률이 높은 코스닥펀드는 1999년 설정된 하나UBS운용의 `코스닥주식E-1'으로 55.36%나 됐다.

이 펀드의 연초 이후 수익률은 무려 68.03%나 됐다.

이어 같은 운용사의 `새천년코스닥주식S-2'(49.20%)와 `인베스트아트코스닥주식A-1'(48.04%), 한국운용의 `파워코리아뉴코스닥중기1'(46.65%) 등이 수익률이 높았다.

코스닥지수를 추종하는 인덱스펀드인 미래에셋맵스의 `미래에셋맵스코스닥스타30인덱스주식형1C-E'와 한국운용의 `부자아빠코스닥스타인덱스파생상품M-1'도 45.77%와 42.66%였다.

올해 들어 개설된 KB운용의 `K스타코스닥엘리트30상장지수'와 한국운용의 `한국킨덱스코스닥스타상장지수' 등 상장지수펀드(ETF)의 1개월 수익률도 25.64%와 25.10%나 됐다.

그러나 최근 개설된 ETF를 제외한 코스닥펀드들은 주로 1999년과 2000년 초반 코스닥시장이 초활황세를 보일 때 설정된 것으로, 설정액이 대부분 10억원 미만인 `자투리펀드'여서 코스닥펀드의 고공행진에도 재미를 본 투자자는 그리 많지 않을 것으로 추정된다.

제로인 이수진 펀드애널리스트는 "최근엔 높은 수익률을 보여주고 있지만 2001년 하반기 코스닥시장의 IT 버블이 꺼지면서 한때 수익률이 급락해 투자자들 대부분이 이들 펀드를 떠나 현재는 최근 개설된 ETF를 제외하면 소규모펀드로 명맥만 유지하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임상수 기자 nadoo1@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