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이 장악하고 있는 이동통신 시장에 ‘9%의 전쟁’이 시작된다.통합 KT(KT+KTF)가 무선시장 점유율 40%에 도전한다는 목표를 세워놓았기 때문이다.KTF의 현재 이동통신 점유율은 31.5%.이미 불어날대로 불어난 시장에서 SK텔레콤(점유율 50.5%)의 영향력까지 감안하면 힘겨운 싸움이다.하지만 KT는 와이브로,무선랜,무전통신(TRS)등 다른 무선서비스까지 아우를 경우 한판 승부를 겨룰 수 있다는 판단이다.KT는 특히 자사가 강점을 갖고 있는 와이브로 활성화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와이브로는 이동중에도 빠르게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주목받았지만 2월 현재 이용자는 17만여명에 불과하다.KT는 3세대(G) 이동통신과의 컨버전스(융합)를 통해 와이브로도 살리고 무선시장 점유율도 높여간다는 전략을 세웠다.이를 위해 와이브로 고객층을 개인 위주에서 기업으로 확대하고 자동차 등 다른 산업과의 융합에도 적극 나서기로 했다.

◆와이브로로 시장판도 재편

KT의 선전포고는 와이브로와 3G 이동통신을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 출시와 동시에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음성통화는 3G망,무선인터넷은 와이브로망을 각각 이용하는 방식이 될 이 스마트폰은 빠르면 수개월내 선보일 것으로 예상된다.데이터에 강점이 있는 와이브로를 3G의 보완재로 활용,자연스럽게 와이브로 이용을 확대하겠다는 것.이 서비스를 이용하면 음성통화 요금은 기존과 같지만 무선인터넷 요금은 크게 절감된다.현재 와이브로 요금제는 1만원에 1기가바이트(GB)의 데이터를 제공한다.1GB에 6000원인 LG텔레콤의 ‘오즈(OZ)’보다 조금 비싸지만 기존 SK텔레콤이나 KTF의 무선인터넷 요금에 비해 파격적이다.속도 역시 3G보다 3배 이상 빨라 인터넷 검색이나 동영상 등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하기 편리하다.과금도 통합돼 3G와 와이브로를 따로 이용할 때보다 요금부담이 줄어든다.

다만 서울과 수도권 19개 도시에서만 와이브로가 가능하다는 게 약점이다.KT는 다른 지역 이용자에게는 우선 3G망을 통해 무선인터넷을 제공하고 대학 캠퍼스와 기업체 등 데이터 사용량이 많은 곳부터 와이브로 투자를 늘려갈 계획이다.KT 관계자는 “이동통신 및 초고속인터넷망이 거미줄처럼 깔린 상황에서 와이브로 전국망을 깐다 해도 시장확대에는 한계가 있다”며 “3G와의 결합으로 와이브로를 활겅화하면서 저렴한 데이터요금을 앞세워 고객을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융합전략으로 시장확대

KT는 와이브로 저변 확대를 위해 기업용 통신과 기기간 통신(M2M)시장에 적극 진출할 계획이다.이미 승용차나 택시 버스에 와이브로를 탑재,차량 내에서 인터넷을 이용하는 서비스를 추진하고 있다.서울·수도권 노선버스 1000대에서 제공중인 ‘와이브로 버스 PC방’을 연말까지 5000대로 늘리고 택시에서도 비슷한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다.현대자동차가 생산하는 차량에 와이브로를 장착하는 방안도 모색하고 있다.
또 대형 사업장에 ‘와이브로 존’을 구축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안도 추진한다.사무실이나 공장에 와이브로 기지국을 설치해 일정 범위안에서는 와이브로를 통해 업무를 처리하거나 인터넷을 이용하고,외부에 나가면 기존 와이브로 상용망에 접속하도록 하는 방식이다.실제로 이미 현대중공업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과 함께 와이브로를 활용,조선소의 무선통신 인프라를 구축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KT는 향후 와이브로에 음성통화가 허용되면 기업 고객을 중심으로 공격적인 영업을 펼쳐나갈 계획이다.이와함께 3G와 와이브로망을 통해 자동차 및 공장의 배출가스를 통제하거나 원격제어하는 등의 융합서비스도 준비하고 있다.

이경수 KT 휴대인터넷사업본부장은 “합병으로 KT는 2G,3G 와이브로를 모두 거느린 무선통신사업자가 됐다”며 “와이브로만 놓고 보면 시장이 불투명할 수 있지만 전체 무선 네트워크를 잘만 운용하면 승산이 있다”고 말했다.

양준영 기자 tetriu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