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바마 "직원에 거액 보너스 안돼…모든 압박 강구"

미국 정부가 아메리칸 인터내셔널 그룹(AIG)의 거액 보너스 지급 방침에 발끈, 300억달러에 이르는 추가 구제금융 제공계획 변경을 검토하고 있다.

이는 AIG의 보수 지급에 관여할 법적 권한이 없는 정부가 보너스 지급을 막으려는 압박조치로 내놓은 것으로, 공적자금을 받은 금융기관의 도덕적 해이에 대한 국민적 분노를 반영한 조치로 풀이된다.

익명의 재무부 관계자는 16일 지난 2일 발표한 AIG 구제금융 제공계획을 변경할 수 있다고 밝혔다고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다.

정부의 이런 움직임은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이날 AIG의 보너스 지급에 대해 분노를 표출하고 나서 나왔다.

앞서 AIG측은 정부의 지원을 받기 전 직원들과 계약한 1억6천500만달러의 성과금 지급을 강행하겠다고 15일 발표했다.

보너스를 주지 않으면 법적 소송의 대상이 될 수 있는 데다 유능한 직원을 잃을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그러나 오바마 대통령의 입장은 단호하다.

"이는 돈의 문제가 아니라 근본적 가치의 문제"라고 질타한 오바마 대통령은 모든 수단을 강구해 보너스 지급을 막겠다고 밝혔다.

AIG에 대한 정부의 압박은 전방위로 이뤄지고 있다.

앤드루 쿠오모 뉴욕주 검찰총장은 이날 AIG에 보너스를 받게 될 임직원 명단과 실적에 대한 세부사항, 사내 기여실적 등을 통보하라고 요구했다.

AIG의 구조조정 과정에서 130억달러를 챙긴 골드만삭스도 비난의 화살에 직면했다.

미 의회 하원 감독위원회 소속 엘리야 커밍스 의원(메릴랜드·민주)은 골드만삭스와 AIG 유착을 파헤치는 청문회를 열겠다고 압박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17일 보도했다.

골드만삭스 경영자 출신인 헨리 폴슨 전 재무장관이 AIG 구조조정 계획 입안에 참여했다는 점은 이와 관련, 미묘한 파장을 낳을 수 있는 대목이다.

(서울연합뉴스) 김중배 기자 jbkim@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