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호주의 비판 속 감원계획 싸고 갈등

프랑스 정부가 자동차 산업 구제계획을 발표한 뒤 주변국으로부터 '보호무역주의'라는 비판을 받고 있는 가운데 자국의 자동차 회사와도 고용안정책을 둘러싸고 갈등을 겪고 있다.

니콜라 사르코지 대통령은 최근 자동차 산업 지원 방침을 공개하면서 자국산업 보호를 위해 프랑스 내의 근로자를 감원하지 않고 생산공장도 해외로 이전하지 않는다는 조건 하에 30억유로씩을 양대 회사에 지원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그러나 사르코지 대통령의 발표 이틀 뒤 최대 자동차 업체인 PSA 푸조-시트로앵은 전세계 직원 중 1만1천명을 감원할 계획을 공개했다.

특히 푸조-시트로앵의 최고경영자(CEO)인 크리스티앙 스트레이프는 국내 근로자도 3천550명 감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스트레이프 CEO는 회견을 갖고 "우리의 전략은 변한 게 없다"라면서 "앞으로도 서유럽은 물론 저임금 국가에서 생산을 계속 확대해 나갈 것이며 "자진퇴사 형식으로 국내근로자도 3천550명 줄일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장기저리로 대출을 받는 대가로 자국 근로자를 감원하지 않기로 한 지원조건에 어긋난다는 것이 정부의 입장이다.

경제부는 스트레이프 CEO의 회견 후 자국 근로자를 감원하지 말아야 한다고 푸조-시트로앵 측에 거듭 경고했다.

크리스틴 라가르드 경제장관은 푸조 측이 프랑스 근로자를 해고하지 않기로 사르코지 대통령에게 약속한 점을 상기시키면서 이같이 압박했다.

고위 경제부 관리들도 푸조 측과 다각도로 접촉해 자국 근로자 감원 계획을 철회시키기 위해 주력했으나 어느정도 성과가 있었는지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

이런 가운데 푸조의 생산공장이 가동되고 있는 체코와 슬로바키아 정부는 거듭 프랑스 정부의 자동차 업체 구제계획이 보호무역주의 조치라며 비판을 계속하고 있고 EU집행위도 공정경쟁에 관한 법에 어긋나는지 여부를 가리겠다는 입장이다.

한편, 프랑수아 피용 총리는 이날 브뤼셀을 방문해 주제 마누엘 바로수 EU집행위원장을 예방하고 역내 공정 경쟁을 훼손하는 정책이 아니라는 점을 역설했고 라가르드 장관도 칼-테오도르 추 구텐베르그 독일 신임 경제장관을 파리로 초청해 정부입장을 설명키로 했다.

(파리연합뉴스) 이명조 특파원 mingjo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