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경영' 포스코 후임 회장 논의中..'정부통제기업' 이미지 불식 과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구택 포스코 회장이 공식 사퇴 의사를 밝히면서 포스코의 향후 경영구도와 사업전략이 주목받고 있다.
15일 포스코에 따르면 포스코 이사회는 이날부터 최고경영자(CEO)후보추천위원회를 구성,새 회장 선임에 들어갈 예정이다. 이 회장은 차기 회장이 선임되는 내달 27일 주주총회 당일 포스코 회장직에서 물러나게 된다.
현재까지 포스코 후임 회장으로 거론되는 외부 인물은 뚜렷하지 않다. 현 정권의 장관급 인사 등이 거론되고 있지만,정치적 외풍 논란 때문에 외부 인사가 선임되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내부 인물로는 윤석만 포스코 사장과 정준양 포스코건설 사장이 물망에 오른다. 이미 상임이사직을 맡고 있는 정 사장과 윤 사장이 후임 회장 후보가 되면 포스코 CEO 후보추천위원회의 자격심사를 거친 뒤 다음달 27일 주주총회 직후 열리는 이사회에서 회장으로 선임되는 절차를 밟는다.
상임이사가 아닌 인물이 회장 후보가 될 경우에는 CEO 후보추천위원회의 자격심사를 거쳐 다음달 6일 열리는 이사회에서 상임이사 후보로 선임되는 단계를 거쳐야 한다. 이후 주총에서 상임이사로 뽑히고 곧바로 이어지는 이사회에서 대표이사로 선임되는 수순이다.
이와 함께 오는 2월로 임기가 끝나는 사외이사 3명과 공석중인 이사 1명에 대한 재신임 또는 교체 작업도 동시에 진행된다. 포스코 이사회는 사외이사 9명과 사내이사 6명 등 총 15명으로 구성돼 있다.
이번에 사외이사 3년 임기가 끝나는 서윤석 이화여대 교수,박영주 이건산업 회장, 허성관 전 행정자치부 장관이 교체대상이 되고, 지난해 전광우 사외이사가 금융위원장으로 옮기면서 공석이 된 자리도 메워야 한다. 포스코 사외이사 후보추천자문단은 3배수를 뽑아 추천하면 이사후보추천위원회에 다시 압축해 다음달 이사회에서 최종 확정된다.
재계 관계자는 “새로운 사외이사직에 현 정권과 관련된 인사들로 채워지면 그야말로 포스코에 대한 외풍 논란이 더욱 거세질 것으로 염려된다”며 “포스코 내부에서 차기 회장을 선임하기 위해서라도 중립적인 사외이사들의 역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이 회장이 사임하면서 포스코가 당초의 중장기 경영 목표를 순조롭게 이어갈 수 있을지도 관심사다. 특히 올해의 경우 대내외적인 여건으로 인해 경영 상황이 악화될 것으로 예상해 비상 경영에 돌입한 가운데 6년간 회사를 이끌어온 이 회장이 갑작스레 물러나면서 안팎의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포스코는 전 세계적인 경기 위축으로 인한 철강 수요 감소와 원자재값 인상에 따라 경영 환경이 악화돼 1월 실적이 사상 최악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이미 비상 경영 체제에 돌입한 상태다. 포스코는 이미 전 임원이 올해 연봉의 10%를 회사에 반납하기로 결의한 상태다.
포스코는 이와 함께 각종 비용의 경우 작년 보다 20~30% 줄이고 저가 원료 구매 확대와 원료 구매 시기 조정 등을 통해 연간 1조원에 육박하는 원가를 절감할 계획이다.
이처럼 비상 경영 체제를 가동중인 가운데 이 회장이 갑작스레 돌연 사퇴 의사를 밝히자 포스코 내부에는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특히 이구택 회장의 조기 퇴진은 포스코가 민영화됐음에도 불구, 정부통제기업이란 부정적 이미지를 또다시 확인시키는 계기로도 작용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그러나 포스코 내부에선 시스템 경영 구도를 정착시켜놨기 때문에 이 회장이 사퇴하더라도 경영 목표 달성을 위한 전략에는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포스코 관계자는 “인도 및 베트남 일관제철소 건설 사업 등 해외 투자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동시에,2018년에 매출 100조원(철강부문 70조원,비철강부문 30조원)을 달성한다는 ‘포스코 비전 2018’도 변함없이 추진될 것”이라고 말했다.
재계 관계자는 “포스코가 이미 시스템 경영을 하고 있기 때문에 경영 차원의 큰 문제는 없겠지만,후임 회장은 철강산업에 몰아닥치고 있는 불황의 파고를 넘는 것과 동시에 정권에 휘둘린다는 포스코의 부정적 이미지를 불식시켜야 하는 과제까지 떠안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경닷컴 장창민 기자 cmjan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15일 포스코에 따르면 포스코 이사회는 이날부터 최고경영자(CEO)후보추천위원회를 구성,새 회장 선임에 들어갈 예정이다. 이 회장은 차기 회장이 선임되는 내달 27일 주주총회 당일 포스코 회장직에서 물러나게 된다.
현재까지 포스코 후임 회장으로 거론되는 외부 인물은 뚜렷하지 않다. 현 정권의 장관급 인사 등이 거론되고 있지만,정치적 외풍 논란 때문에 외부 인사가 선임되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내부 인물로는 윤석만 포스코 사장과 정준양 포스코건설 사장이 물망에 오른다. 이미 상임이사직을 맡고 있는 정 사장과 윤 사장이 후임 회장 후보가 되면 포스코 CEO 후보추천위원회의 자격심사를 거친 뒤 다음달 27일 주주총회 직후 열리는 이사회에서 회장으로 선임되는 절차를 밟는다.
상임이사가 아닌 인물이 회장 후보가 될 경우에는 CEO 후보추천위원회의 자격심사를 거쳐 다음달 6일 열리는 이사회에서 상임이사 후보로 선임되는 단계를 거쳐야 한다. 이후 주총에서 상임이사로 뽑히고 곧바로 이어지는 이사회에서 대표이사로 선임되는 수순이다.
이와 함께 오는 2월로 임기가 끝나는 사외이사 3명과 공석중인 이사 1명에 대한 재신임 또는 교체 작업도 동시에 진행된다. 포스코 이사회는 사외이사 9명과 사내이사 6명 등 총 15명으로 구성돼 있다.
이번에 사외이사 3년 임기가 끝나는 서윤석 이화여대 교수,박영주 이건산업 회장, 허성관 전 행정자치부 장관이 교체대상이 되고, 지난해 전광우 사외이사가 금융위원장으로 옮기면서 공석이 된 자리도 메워야 한다. 포스코 사외이사 후보추천자문단은 3배수를 뽑아 추천하면 이사후보추천위원회에 다시 압축해 다음달 이사회에서 최종 확정된다.
재계 관계자는 “새로운 사외이사직에 현 정권과 관련된 인사들로 채워지면 그야말로 포스코에 대한 외풍 논란이 더욱 거세질 것으로 염려된다”며 “포스코 내부에서 차기 회장을 선임하기 위해서라도 중립적인 사외이사들의 역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이 회장이 사임하면서 포스코가 당초의 중장기 경영 목표를 순조롭게 이어갈 수 있을지도 관심사다. 특히 올해의 경우 대내외적인 여건으로 인해 경영 상황이 악화될 것으로 예상해 비상 경영에 돌입한 가운데 6년간 회사를 이끌어온 이 회장이 갑작스레 물러나면서 안팎의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포스코는 전 세계적인 경기 위축으로 인한 철강 수요 감소와 원자재값 인상에 따라 경영 환경이 악화돼 1월 실적이 사상 최악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이미 비상 경영 체제에 돌입한 상태다. 포스코는 이미 전 임원이 올해 연봉의 10%를 회사에 반납하기로 결의한 상태다.
포스코는 이와 함께 각종 비용의 경우 작년 보다 20~30% 줄이고 저가 원료 구매 확대와 원료 구매 시기 조정 등을 통해 연간 1조원에 육박하는 원가를 절감할 계획이다.
이처럼 비상 경영 체제를 가동중인 가운데 이 회장이 갑작스레 돌연 사퇴 의사를 밝히자 포스코 내부에는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특히 이구택 회장의 조기 퇴진은 포스코가 민영화됐음에도 불구, 정부통제기업이란 부정적 이미지를 또다시 확인시키는 계기로도 작용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그러나 포스코 내부에선 시스템 경영 구도를 정착시켜놨기 때문에 이 회장이 사퇴하더라도 경영 목표 달성을 위한 전략에는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포스코 관계자는 “인도 및 베트남 일관제철소 건설 사업 등 해외 투자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동시에,2018년에 매출 100조원(철강부문 70조원,비철강부문 30조원)을 달성한다는 ‘포스코 비전 2018’도 변함없이 추진될 것”이라고 말했다.
재계 관계자는 “포스코가 이미 시스템 경영을 하고 있기 때문에 경영 차원의 큰 문제는 없겠지만,후임 회장은 철강산업에 몰아닥치고 있는 불황의 파고를 넘는 것과 동시에 정권에 휘둘린다는 포스코의 부정적 이미지를 불식시켜야 하는 과제까지 떠안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경닷컴 장창민 기자 cmjan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