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들어 주요 통화에 대한 원화 환율이 다시 오름세를 타는 모습이다. 한때 달러당 1200원대로 떨어졌던 원 · 달러 환율은 1300원대 중반으로 뛰어올랐고 원 · 엔 환율의 경우는 100엔당 1500원선을 오르내린다. 지난 연말 일시 억제됐던 외화 결제수요가 다시 늘고 있는데다 향후 경제 전망도 갈수록 어두워지고 있는 점 등이 주요 원인이다.

급격한 환율상승(원화가치 하락)은 우리 경제에 적지 않은 부작용을 초래하게 마련이다. 수입 상품 가격을 밀어올려 물가상승 압력을 가중(加重)시키고, 국제 원자재 가격 하락 효과를 제대로 누릴 수 없게 만드는 점이 무엇보다 우려된다. 특히 대일 부품 의존도가 높은 업체들의 경우 불과 1년여 만에 2배 수준으로 치솟은 원 · 엔 환율의 영향으로 고통이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하지만 부정적 측면만 강조하며 비관하고 있을 일은 아니다. 급등한 환율은 다른 한편에서는 국제시장에서 우리 상품의 가격경쟁력을 크게 강화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까닭이다. 특히 전문가들은 일본상품을 따라잡고 추월하기에 지금처럼 좋은 기회는 없다고 입을 모은다. 상대적 가격이 단시일 내에 절반 수준으로 떨어진 상황이고 보면 주요 시장에서 한국상품의 점유율을 높이는 것은 물론 신흥개도국 등 신규시장 개척에서도 큰 효과를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더구나 한국과 일본은 산업구조 자체가 상호대체적 성격을 띠면서 경합하는 경우가 많은 만큼 이번 기회를 잘만 활용하면 경제활력 회복의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기업들은 신규시장 개척 및 기술개발에 더욱 박차(拍車)를 가하는 등 엔고를 수출확대로 연결시키는데 총력을 다하지 않으면 안된다. 수출 없이는 버틸 수 없는 게 우리 경제의 현실이지만 실제 수출은 두자릿수 하락률을 면치 못하고 있는 형편이어서 더욱 그러하다.

정부 또한 다양한 수출지원책과 부품산업 육성책을 마련해 기업들의 노력을 지원하고 매년 사상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는 대일 무역적자를 줄여나가야 함은 물론이다. 지금 같은 수출부진이 계속될 경우 정부가 목표로 잡은 올 수출 4500억달러는 그림의 떡에 지나지 않을 것이란 점은 명심하지 않으면 안될 대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