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구조조정 주거래은행이 담당"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채권금융사 조정위원장에 김우석 前 캠코사장 거론
금융감독 당국은 내년부터 본격 진행될 기업 구조조정의 총대를 주거래은행이 메도록 방침을 정했다. 그러나 은행들끼리 이견이 생겨 구조조정이 막힐 경우 채권금융기관 조정위원회를 통해 신속히 해결한다는 구상이다. 현재 채권금융기관 조정위원장엔 김우석 전 자산관리공사(캠코) 사장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29일 금융당국의 한 고위 관계자는 "기업 구조조정은 그 기업을 가장 잘 아는 주거래은행이 책임지고 진행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다만 기업의 부채가 1개 은행에만 있지 않고 3~4개 은행에 걸쳐 있어 주거래은행이 살리려 해도 나머지가 반대하면 갈등이 생기게 된다"며 "민간 중심으로 만들어지는 채권금융기관 조정위원회는 채권 은행 간 이견이 발생하면 신속히 결론을 내려 구조조정에 속도를 내도록 하는 역할"이라고 설명했다.
즉 각 은행별 구조조정 담당 조직에서 신용평가를 통해 거래기업을 정상(A),일시적 유동성 부족(B),부실징후(C),부실(D) 등 4단계로 구분하는 실무작업을 한 뒤 여기에 채권단 간 이견이 생길 경우 조정위원회가 나서 조율하는 식으로 구조조정이 진행될 것이란 얘기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함께 만든 기업재무개선지원단은 이 같은 채권단 위주의 구조조정을 측면 지원하게 된다. 채권단의 구조조정 속도가 느리거나 부실기업을 제대로 솎아내지 못할 경우 구조조정을 독려하겠다는 것이다. 김종창 금감원장은 최근 "민간에서 부실 기업을 과감히 정리하는 쪽으로 빠른 결정을 내리지 못할 경우 지원단이 적극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채권금융기관 조정위원회의 위원장은 조만간 선임될 것으로 전해졌다. 김우석 전 캠코 사장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는 가운데 민간 출신 인사 등 2명이 경합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당국 고위 관계자는 "기업과 은행을 모두 잘 아는 구조조정 전문가를 곧 임명하겠다"고 말했다.
김현석 기자 realist@hankyung.com
금융감독 당국은 내년부터 본격 진행될 기업 구조조정의 총대를 주거래은행이 메도록 방침을 정했다. 그러나 은행들끼리 이견이 생겨 구조조정이 막힐 경우 채권금융기관 조정위원회를 통해 신속히 해결한다는 구상이다. 현재 채권금융기관 조정위원장엔 김우석 전 자산관리공사(캠코) 사장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29일 금융당국의 한 고위 관계자는 "기업 구조조정은 그 기업을 가장 잘 아는 주거래은행이 책임지고 진행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다만 기업의 부채가 1개 은행에만 있지 않고 3~4개 은행에 걸쳐 있어 주거래은행이 살리려 해도 나머지가 반대하면 갈등이 생기게 된다"며 "민간 중심으로 만들어지는 채권금융기관 조정위원회는 채권 은행 간 이견이 발생하면 신속히 결론을 내려 구조조정에 속도를 내도록 하는 역할"이라고 설명했다.
즉 각 은행별 구조조정 담당 조직에서 신용평가를 통해 거래기업을 정상(A),일시적 유동성 부족(B),부실징후(C),부실(D) 등 4단계로 구분하는 실무작업을 한 뒤 여기에 채권단 간 이견이 생길 경우 조정위원회가 나서 조율하는 식으로 구조조정이 진행될 것이란 얘기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함께 만든 기업재무개선지원단은 이 같은 채권단 위주의 구조조정을 측면 지원하게 된다. 채권단의 구조조정 속도가 느리거나 부실기업을 제대로 솎아내지 못할 경우 구조조정을 독려하겠다는 것이다. 김종창 금감원장은 최근 "민간에서 부실 기업을 과감히 정리하는 쪽으로 빠른 결정을 내리지 못할 경우 지원단이 적극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채권금융기관 조정위원회의 위원장은 조만간 선임될 것으로 전해졌다. 김우석 전 캠코 사장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는 가운데 민간 출신 인사 등 2명이 경합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당국 고위 관계자는 "기업과 은행을 모두 잘 아는 구조조정 전문가를 곧 임명하겠다"고 말했다.
김현석 기자 reali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