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환 미군기지 개발을 위한 국비 배정이 늦어져 50년 만에 지역 발전을 이루게 됐다며 기대에 부풀어 있던 경기북부지역 주민들의 불만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1단계 미군 공여지 종합발전계획은 올 1월 확정됐으나 행정안전부와 기획재정부간 협의 지연과 이견 등으로 내년도 국비 지원이 불투명해 사업 차질이 우려되고 있다.

22일 경기도 제2청에 따르면 경기북부의 반환 미군기지는 167.5㎢로 전국 (177.97㎢)의 94%를 차지하고 있어 도2청과 각 지자체는 이를 개발해 지역 발전을 앞당기겠다는 '핑크빛' 설계를 쏟아냈다.

도는 해당 자치단체들의 의견을 들어 국지도 및 국도 대체우회도로 사업 등 공공사업 74건(2조7천217억원), 관광레저단지 조성 등 순수 민자사업 5건(4조4천433억원) 등 모두 79건, 7조1천650억원 규모의 종합발전계획을 마련했다.

1단계 사업은 2017년까지 연차적으로 추진된다.

행안부는 지난 1월 이 같은 내용의 1단계 사업을 확정하고 지난 3월 공여구역 주변지역 사업 가운데 국비 지원 1천492억원과 반환기지 매입비 중 공공용지 부지 매입비 679억원 등 내년도 사업분 2천171억원을 기획재정부에 요청했다.

그러나 협의가 계속 지연돼 자칫 내년도 국비 지원 사업의 차질마저 우려되고 있다.

이에 대해 해당 자치단체와 주민들은 1단계 사업이 순조롭게 진행될 수 있도록 정부가 서둘러 내년도 예산에 반영해 미군기지로 인한 반세기 동안의 고통을 보상해야 한다며 불만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더욱이 정부가 용산기지에 1조5천억원을 들여 공원을 조성한 뒤 환원키로 한 반면 동두천 미군기지는 모두 매각해 평택기지 이전 비용으로 충당하고 평택기지 이전 지역에 국비 18조8천억원 마저 지원하는 등 형평에 어긋난 행정을 펴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한배수 경기도 특별대책지역과장은 "반환 미군기지 개발은 경기북부의 미래를 이끌어 가는 원동력"이라며 "발전종합계획에 반영된 사업들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국비 지원이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의정부연합뉴스) 김도윤 기자 kyoo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