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연구개발(R&D) 투자 대비 기술사업화 예산규모는 선진국의 4분의 1 수준에 불과합니다. 선진국 수준의 기술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술이전 및 사업화 예산의 확대가 중요합니다. "

지식경제부 이창한 산업기술국장은 제3차 기술이전사업화 촉진 중기계획 발표에 앞서 인터뷰를 갖고 "기술을 개발해도 이전이 안되면 개발한 기술은 무용지물"이라며 이같이 강조했다.

지식경제부와 한국기술거래소는 내년부터 2011년까지 제3차 기술이전사업화 촉진계획을 세워 추진할 계획이다.

이 국장은 "이번 계획이 새로운 국정 비전으로서의 지속가능한 경제성장 패러다임을 세우는 초석이 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며 "신성장동력,그린에너지,신IT(정보기술) 등 다양한 산업에 걸쳐 구체적인 발전 전략이 마련돼 시행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올해 기술사업화 예산규모는 정부 R&D 투자 총액의 0.7% 수준으로 미국이 대표적 기술사업화 프로그램인 SBIR(Small Business Innovative Research)에서 공공 R&D 예산의 2.5% 이상을 할당하고 있는 것과 비교하면 저조한 상황이다. 이 국장은 "기술이전 및 사업화에 있어서는 정부의 예산확대도 중요하지만 민간의 참여와 투자가 필수적"이라며 "특히 기술금융 부문에서는 첨단 기술을 기반으로 한 혁신형 기업이 지속적으로 창출되고 커 나갈 수 있도록 지속적인 민간투자가 유입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국장은 기술이전 및 사업화에 대해 정부와 새롭게 통합된 R&D 관리기관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새로운 기술거래시장을 창출하고 기술 이전 및 사업화가 원활히 진행될 수 있는 인프라를 확충하기 위해서는 한국기술거래소가 수행했던 기술이전 및 사업화 인프라 지원 기능을 통합기관이 발전적으로 계승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현재 국내의 기술이전 성공사례가 그간의 R&D 성과나 투자에 비해 부족한 수준이라는 점도 지적했다. 그는 "성공사례가 지속적으로 나와야 민간 사업화 전문회사가 육성되고 기술금융이 활성화돼 민간투자의 선순환이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미국의 구글이나 마이크로소프트 같이 혁신적인 아이디어에서 시작해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한 우리 기업이 나오지 말라는 법이 없다"며 "활발한 기술이전 사업화가 국내 경제성장과 고용창출의 밑거름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임기훈 기자 shagg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