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코(KIKO) 사태와 외국계 보고서 논란 등으로 홍역을 앓고 있는 하나금융지주가 자본 확충으로 투자자들의 우려를 불식시킨다는 계획이다. 다른 은행계 지주사들도 회사채 발행을 통한 자본 늘리기에 잇달아 나서고 있어 앞으로 은행주에 대한 투자심리가 살아날 수 있을지 주목된다.

하나금융지주는 18일 긴급 이사회를 소집해 회사채와 후순위채 발행을 논의했다. 정확한 규모가 공식적으로 나오지는 않았지만, 회사채 1조원과 후순위채 5000억원 발행이 유력한 것으로 보인다. 또 조달된 자금 일부는 하나은행의 유상증자에 쓰일 것으로 업계에서는 예상하고 있다.

1조5000억원 전액이 하나은행에 지원될 경우 하나은행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은 지난 9월 말 현재 10.65%(바젤II 기준)에서 12% 가까이 올라갈 것으로 추정된다. 또 BIS 기본자본비율은 기존 7.45%에서 8%대 후반까지 껑충 뛴다.

우리금융지주도 조만간 이사회를 소집해 1조원 규모의 회사채 발행을 논의할 예정이다. 또 이 가운데 일부는 은행의 유상증자에 투입될 예정이다. 한 증권사 애널리스트는 "최소 5000억원 이상이 은행에 지원될 것으로 본다"고 했다. 이 경우 기본자본비율이 7.63%에서 8%대로 상향될 전망이다.

은행 건전성의 핵심 지표인 자본 비율 상승은 불안한 투자심리를 완화시켜 주가에도 긍정적이라는 평가다. 홍헌표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건설사 미분양으로 은행의 부동산 PF(프로젝트 파이낸싱) 부실 우려가 극에 달한 상황"이라며 "은행의 자본 확충은 향후 부실이 일부 현실화되는 과정에서 완충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주가도 단기적으로는 긍정적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주가에 부정적일 수 있다는 지적이다. 홍 연구원은 "은행의 증자가 곧바로 은행지주사의 주식가치 희석으로 이어지지는 않으나, 결국 은행의 자본 확대는 지주사 자본 확대와 같은 개념"이라며 "자기자본이익률(ROE), 주당순이익(EPS) 등 수익성 감소로 이어질 수 밖에 없다"고 했다.

한편, 이날 급락세를 보인 증시에서 하나금융지주와 우리금융은 5.45% 상승과 보합으로 장을 마쳤다. 특히 하나금융지주는 장 막판 외국계로 추정되는 매수 물량이 대거 쏟아져 주가가 급반등했다.

한경닷컴 안재광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