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공기관 홈페이지에서 주민등록번호 없이도 회원 가입이나 게시판 글쓰기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행정안전부는 2010년까지 전체 2만여개 공공기관에 인터넷상 주민등록번호 대체수단인 '공공 아이핀(I-PIN. 인터넷상 개인식별번호)'을 보급할 계획이라고 11일 밝혔다.

'공공 I-PIN'은 국민이 공공기관 홈페이지를 이용할 때 주민등록번호 대신 본인임을 확인받을 수 있는 사이버 신원 확인번호로, 행안부는 지난 8월부터 중앙부처와 광역자치단체 등에 보급하고 있다.

행안부는 현재까지 노동부, 국세청, 부산시청 등 72개 중앙부처와 광역자치단체에 '공공 I-PIN'을 보급한 데 이어 내년까지 1만여개, 2010년까지 전체 2만여개 공공기관에 보급을 마칠 계획이다.

행안부 관계자는 "공공 I-PIN 서비스가 정착되면 주민등록번호 유출이나 명의 도용이 원천적으로 차단돼 인터넷 이용자의 개인정보 보호체계가 획기적으로 강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공공 I-PIN'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공인인증서 또는 주민등록세대정보로 '공공 I-PIN 센터' 홈페이지(www.g-pin.go.kr)에 신청하거나 읍.면.동사무소에 직접 신청서를 제출하면 된다.

(서울연합뉴스) 김인철 기자 aupf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