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타결안으로 한미 `윈윈' 가능"

청와대는 10일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당선인측이 최근 우리 정부 고위관계자에게 한미FTA(자유무역협정)의 연내 처리를 요청했다는 일부 언론보도에 대해 "공식적으로 전달된 바 없다"고 부인했다.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일부 미국 민주당 관계자들이 대선 이전에 개인적으로 비공식 경로를 통해 한미FTA와 관련한 의견을 전달해 온 것으로 안다"면서 "그러나 이는 오바마 당선인측의 공식적 견해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 대변인은 그러면서 "지금 오바마 당선인은 그런 입장을 공식적으로 전해올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며 "외교적 상식에 맞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우리 정부의 한미FTA 처리 방침과 관련, 이 대변인은 "기본적으로 빠른 시일내에 비준해야 한다는 기존 입장에 변화가 없다"면서 "국가와 국가, 정부와 정부가 맺은 협정인 만큼 정권이 바뀌었다고 해서 입장이 바뀌어선 안된다"며 한미 양국이 기존 타결안대로 의회에서 비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국제금융위기와 실물경제 침체가 전세계적으로 확대되면서 위기의식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교역확대와 일자리창출 등이 기대되는 한미FTA는 국익차원에서 비준돼야 한다"면서 "특히 우리가 먼저 비준하는 게 미국측의 비준을 이끌어내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에 정쟁이 아니라 국익 차원에서 초당적인 협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 대변인은 아울러 "미국내 일각에서 자동차협상의 불균형에 대한 지적이 있으나 한미FTA가 비준된다면 미국도 한국에 대한 수출이 확대될 뿐만 아니라 한국을 동북아시장의 거점으로 활용할 수 있다"면서 "양국 국익에 `윈윈(Win-Win)'의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말했다.

이 대변인은 이밖에 재협상이나 추가협상 가능성에 대해서는 "재협상은 없다는 게 우리 정부의 기본입장"이라며 "지난번 타결된 내용된 양쪽의 이익을 균형있게 반영한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이승관 기자 human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