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총재 "수일 내 지원 협상 개최"

정치 및 치안 불안 속에 국가 부도위기에 놓였던 파키스탄이 결국 국제통화기금(IMF)의 구제금융을 신청했다고 현지 언론과 외신들이 22일 보도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22일 성명을 통해 파키스탄의 구제금융 신청 사실을 공식 확인했다.

도미니크 스트로스-칸 IMF 총재는 성명에서 "파키스탄 당국이 IMF에 구제금융 지원에 관한 협의를 요청해왔다"며 "IMF 대표단은 수일 내에 파키스탄의 경제적 안정과 금융시스템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금융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논의를 시작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스트로스-칸 총재는 IMF가 파키스탄에 지원할 구제금융 액수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다만, 앞서 파키스탄 당국이 현재의 자금부족 상황을 타개하고 최소 2년간 국가 경제를 지탱하기 위해 100억∼150억달러의 자금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힌 바 있다.

오랜 정치 및 치안 불안 끝에 식량과 연료가격 폭등 상황에 직면했던 파키스탄은 미국발 금융위기 속에 루피화가치 급락과 자산의 국외 도피 등으로 외환 보유액이 급격히 줄어들면서 '디폴트(채무불이행)'를 선언할 가능성이 커져 왔다.

특히 지난달에는 외환보유액이 10억 달러나 줄어들었다.

지난 11일 현재 파키스탄의 외환 보유액은 77억5천만달러선이지만 중앙은행 보유분은 43억달러 선으로 한 달여 수입물품 대금을 결제할 수 있는 규모에 불과하다.

이처럼 외환 보유고가 급격히 줄어들자 국제신용평가사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최근 파키스탄의 대외 지급능력 저하를 고려해 신용등급을 'B'에서 'CCC+'로 하향 조정하고 등급 전망을 '부정적'으로 제시해 위기감을 고조시켰다.

상황이 악화하자 파키스탄은 미국과 중국 등 우방들에 경제 지원을 요청했으나 여의치 않았고, 지난 21일부터 IMF 측과 구제금융 신청 문제를 논의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앞서 벨로루시와 우크라이나는 IMF에 각각 20억 달러와 150억 달러의 구제금융을 요청한 바 있다.

(뉴델리연합뉴스) 김상훈 특파원 meolakim@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