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를 기회로 만들자] 신성장동력에 집중투자, 10년뒤 먹거리에 99조 투입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명박 정부는 출범 초기부터 신성장동력을 확보하는 데 골몰하고 있다. 기술이 급변하고 하루가 다르게 새로운 산업 분야가 출현하는 상황에서 새로운 성장동력을 조기에 확보하지 못할 경우 5~10년 뒤 한국의 위상이 추락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지난달 신성장동력기획단(단장 서남표 KAIST 총장)과 함께 정부가 미래 한국 경제를 먹여 살릴 신성장동력 22개 분야를 정해 내년부터 2013년까지 모두 99조4000억원(정부 7조9000억원,민간 91조5000억원)을 투자키로 한 것도 미래를 대비하겠다는 구상이다.
◆에너지·환경 분야 가장 많아
정부가 제시한 22개 신성장동력 가운데 특히 눈길을 끄는 사업은 에너지·환경 분야의 무공해 석탄에너지,해양 바이오연료,태양전지,이산화탄소 회수 및 자원화,연료전지 발전 시스템,원전 플랜트 등 6개 분야다. 이명박 대통령이 주창한 '녹색성장'을 뒷받침하고 수출산업화해 향후 5~10년 뒤 한국경제의 먹거리로 삼겠다는 의지가 반영된 것이다.
이 가운데 저급 석탄으로 합성석유와 화학제품,전기 등을 생산하는 '무공해 석탄에너지'는 선진국과 기술 격차가 적어 성공 가능성이 높다. 에너지·환경 분과 위원장으로 기획단에 참여한 구자영 SK에너지 P&T(전략기획 및 연구개발)부문 사장은 "무공해 석탄에너지에서 3대 제품의 시장 규모는 앞으로 2000조원 이상으로 커진다는 전망이 있다"며 "향후 5년간 우리가 이 분야에 22조원을 투자해 국내 석유 소비의 8%를 대체하겠다는 목표는 무리한 게 아니다"고 말했다.
우뭇가사리 등 해조류를 활용,석유를 대체할 수 있는 연료를 생산하는 '해양 바이오 연료'도 국내 연구기관이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향후 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분야로 꼽힌다.
◆2013년까지 신규 일자리 88만개 창출
정부의 신성장동력 발전 전략은 기술과 시장의 성숙도에 따라 성장동력화가 예상되는 시기가 다르다는 점을 고려,단기(5년 이내) 중기(5~10년) 장기(10년 이후) 등으로 나눠 차별화한 전략을 제시했다. 5년 전 참여정부가 내놓은 '차세대 성장동력' 10대 핵심 과제 중 홈네트워크와 디지털TV 등 2개는 상용화가 끝나 제외됐으나 나머지 8개는 11개로 나뉘어 신성장동력에 포함된 것도 특징이다.
신성장동력 사업이 계획대로 진행될 경우 신규 일자리는 문화콘텐츠 분야를 제외하더라도 5년간 88만개,10년간 226만개가 창출될 것으로 정부는 예상하고 있다. 부가가치 생산액도 올해 116조원에서 2013년 253조원, 2018년 576조원으로 늘어나고 수출 규모는 올해 1208억달러에서 2013년 3690억달러,2018년 7964억달러로 급증할 것으로 내다봤다.
류시훈 기자 bada@hankyung.com
◆에너지·환경 분야 가장 많아
정부가 제시한 22개 신성장동력 가운데 특히 눈길을 끄는 사업은 에너지·환경 분야의 무공해 석탄에너지,해양 바이오연료,태양전지,이산화탄소 회수 및 자원화,연료전지 발전 시스템,원전 플랜트 등 6개 분야다. 이명박 대통령이 주창한 '녹색성장'을 뒷받침하고 수출산업화해 향후 5~10년 뒤 한국경제의 먹거리로 삼겠다는 의지가 반영된 것이다.
이 가운데 저급 석탄으로 합성석유와 화학제품,전기 등을 생산하는 '무공해 석탄에너지'는 선진국과 기술 격차가 적어 성공 가능성이 높다. 에너지·환경 분과 위원장으로 기획단에 참여한 구자영 SK에너지 P&T(전략기획 및 연구개발)부문 사장은 "무공해 석탄에너지에서 3대 제품의 시장 규모는 앞으로 2000조원 이상으로 커진다는 전망이 있다"며 "향후 5년간 우리가 이 분야에 22조원을 투자해 국내 석유 소비의 8%를 대체하겠다는 목표는 무리한 게 아니다"고 말했다.
우뭇가사리 등 해조류를 활용,석유를 대체할 수 있는 연료를 생산하는 '해양 바이오 연료'도 국내 연구기관이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향후 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분야로 꼽힌다.
◆2013년까지 신규 일자리 88만개 창출
정부의 신성장동력 발전 전략은 기술과 시장의 성숙도에 따라 성장동력화가 예상되는 시기가 다르다는 점을 고려,단기(5년 이내) 중기(5~10년) 장기(10년 이후) 등으로 나눠 차별화한 전략을 제시했다. 5년 전 참여정부가 내놓은 '차세대 성장동력' 10대 핵심 과제 중 홈네트워크와 디지털TV 등 2개는 상용화가 끝나 제외됐으나 나머지 8개는 11개로 나뉘어 신성장동력에 포함된 것도 특징이다.
신성장동력 사업이 계획대로 진행될 경우 신규 일자리는 문화콘텐츠 분야를 제외하더라도 5년간 88만개,10년간 226만개가 창출될 것으로 정부는 예상하고 있다. 부가가치 생산액도 올해 116조원에서 2013년 253조원, 2018년 576조원으로 늘어나고 수출 규모는 올해 1208억달러에서 2013년 3690억달러,2018년 7964억달러로 급증할 것으로 내다봤다.
류시훈 기자 bad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