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항공기가 공중에서 납치된 사건이 발생한 수단의 다르푸르 지역은 5년여 전에 발발한 정부군과 반군 간의 내전이 종식되지 않은 분쟁 지역이다.

국제형사재판소(ICC)가 지난달 14일 인종학살 등 혐의를 적용, 오마르 알-바시르 수단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을 청구하면서 이 지역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이 다시 집중됐다.

바시르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을 청구한 ICC의 루이스 모레노-오캄포 수석검사는 당시 "바시르는 정부군과 민병대 등 자신의 영향력 아래에 있는 조직들을 동원해 최소 3만5천명의 민간인을 살해했으며, 이 과정에서 난민으로 전락한 250만명 중 최대 26만5천명이 굶주림과 질병으로 목숨을 잃었다"고 주장했다.

다르푸르 사태는 2003년 2월 수단해방운동(SLM)과 정의평등운동(JEM) 등 기독교계 흑인 반군조직들이 중앙 정부에 반기를 들고 군 초소를 공격하면서 시작됐다.

수단 정부는 반군 조직들을 소탕하기 위해 아랍계 민병조직인 잔자위드를 동원했고, 잔자위드와 반군 조직들 간 전투 과정에서 민간인 학살과 부녀자 강간 등 반인륜 범죄가 속출했다.

국제 사회는 이 사태를 아랍계 무슬림이 장악한 중앙 정부가 잔자위드를 앞세워 기독교계 흑인 주민들을 상대로 벌인 `인종청소' 사건으로 묘사해왔다.

현재 수단 다르푸르에는 혼성 평화유지군인 `유엔-아프리카연합 임무단(UNAMID)'이 올해 초부터 9천명의 군.경 병력으로 업무에 착수했으나 ICC가 바시르 대통령의 영장을 청구한 이후 수단 정부의 비협조로 임무수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난달 초에는 북부 다르푸르에서 민간인 학살사건을 조사하던 UNAMID 소속 병사들이 잔자위드로 추정되는 민병대의 기습공격을 받아 7명이 숨지고 22명이 부상하기도 했다.

수단은 또 지난달 말과 이달 중순 잇따라 특별 법정을 열어 정부군과의 교전 과정에서 생포한 반군 JEM의 조직원 수십명에 대해 사형을 선고했다.

반군조직 JEM은 지난 5월 다르푸르에서 수백 ㎞ 떨어진 수도 하르툼의 대통령궁 인근까지 진격해 정부군과 치열한 전투를 벌였다.

이번 여객기 피랍사건이 발생하기 하루 전인 25일에는 수단 정부군이 다르푸르 서부의 칼마 난민캠프를 포위하고 난민들을 공격, 33명을 숨지게 했다.

(카이로연합뉴스) 고웅석 특파원 freemo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