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가 뿔났다' '워킹맘' '내 인생의 황금기'

처녀와 애 딸린 이혼남의 결혼, 황혼의 로맨스로 인한 두 가정의 결합, 불륜에 따른 가족 해체와 재결합….
드라마가 새로운 가족상을 적극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물론 갑자기는 아니다.

하지만 최근의 드라마들이 과거와는 달리 전통적 가족상의 해체와 그에 따른 새로운 가족의 형태를 부쩍 전면에 내세우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동안은 주로 입양에 포커스가 맞춰져왔다면 이제는 재혼 가정의 다양한 유형과 이혼남-처녀, 이혼녀-총각 커플 등이 부각되고 있다.

'가족의 탄생', '열한번째 엄마', '귀여워' 등의 영화들이 앞장서서 그린 불륜으로 인한 가족 해체와 재결합도 정면으로 그려지고 있다.

◇"아빠의 아내? 아줌마"


KBS 2TV '엄마가 뿔났다'에서 이혼남 종원(류진 분)과 결혼한 영수(신은경)는 종원의 딸 소라에게 '엄마' 소리를 듣지 못한다.

소라는 영수를 '아줌마'라고 부른다.

그런다고 소라를 혼내는 사람도 없고 영수 역시 섭섭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영수는 소라에게 '엄마'라는 호칭을 강요하는 대신, 자신이 소라의 친엄마가 아닌 상황을 담담히 받아들이고 인간 대 인간으로 소라와 마주한다.

기존 드라마가 아이들이 새엄마, 새 아빠에게 적응하는 과정에서 불협화음을 내다가도 이내 '엄마', '아빠'라고 부르게 되는 모습을 보여준 것과는 다르다.

소라에게 영수는 엄마가 아니라 아빠의 아내일 뿐이기 때문에 '아줌마'인 것이다.

영수 역시 소라를 친엄마 이상으로 사랑해줄 자신이 없다는 것을 인정하고 대신 자신이 할 수 있는 만큼의 노력을 기울여 소라와의 불편했던 관계를 개선해나간다.

한국여성민우회의 윤정주 사무국장은 "'엄마가 뿔났다'는 재혼 가정에서 아이와 새엄마가 자연스럽게 인간 대 인간으로 결합하는 것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기존 드라마들보다 진일보했다"고 평가했다.

◇아빠의 딸, 엄마의 아들 그리고 입양

SBS TV '워킹맘'은 각자 20~30대 다 큰 자식을 거느린 남녀가 재혼하면서 탄생한 가족을 보여준다.

종만(윤주상)과 복실(김자옥)의 재혼으로 종만의 딸 가영(염정아)과 복실의 아들 주몽(임대호), 딸 은지(차예련)는 형제가 된다.

두사람의 결혼은 직장생활과 육아의 병행에 힘겨움을 느낀 가영이 새로운 친정 엄마를 찾아나서면서 성사됐다.

복실은 가영의 바람과 달리 육아는 못하겠다고 선언하지만 지혜롭고 애정어린 친정 엄마의 역할을 해 가영을 감동시킨다.

30일 첫 선을 보이는 MBC TV '내 인생의 황금기'도 재혼 가정 세 남매의 인생 스토리다.

이만세(장용)와 복미자(김해옥)는 아이들이 어린 시절 재혼한다.

만세는 딸 황(문소리)과 기(진이한)를, 미자는 딸 금(이소연)을 데리고 결합한다.

세 남매는 어려서부터 자라며 같은 이씨 성을 쓰고 이름마저 똑같이 외자로 맞추며 친형제처럼 자라난다.

하지만 금이 요양원에 있는 친아버지에게 용돈을 대는 등의 문제로 피할 수 없는 충돌이 발생한다.

'엄마가 뿔났다'에서 소라 아빠 종원과 결혼한 영수는 종원의 아이를 임신한 상태다.

소라에게 배다른 동생이 생기면서 발생하는 이야기도 드라마의 한 축이다.

얼마 전 종영한 KBS 2TV '태양의 여자'는 수호(강인덕)-정희(정애리) 부부 사이에서 태어난 사월(이하나)과 그들이 입양한 도영(김지수)의 갈등이 잉태한 비극을 그렸고, SBS TV '조강지처클럽'은 원수(안내상)의 아들 철이를 놓고 친엄마 화신(오현경)과 새엄마 지란(김희정)이 갈등하는 모습을 그린다.

또 SBS TV '일지매'나 KBS 2TV '최강칠우' 등의 사극도 나란히 주인공을 입양자로 설정했다.

이 과정에서 불륜이 가족 해체의 주범으로 그려지고 있다.

그러나 가족 해체가 종착점이 아니다.

드라마는 그 이후 가족의 변화를 그린다.

◇새로운 가족의 진화된 모습 그려야

여성민우회의 윤정주 사무국장은 "예전 드라마도 입양을 위주로 새로운 형태의 가족을 그리긴 했지만, 최근 들어 조금 더 다양한 형태의 신 개념 가족이 많이 등장하고 있어 긍정적이다.

좀더 현실에 가깝게 그려지고 있는 것 같다"고 밝혔다.

그러나 그는 "하지만 갈등을 유발하기 위한 장치가 상투적인 것은 여전해 아쉽다.

새로운 가족 형태에 대한 왜곡된 시선을 조장할 우려가 있다"고 경계했다.

윤 사무국장은 입양아가 집안의 문제아가 되는 설정을 대표적인 상투성으로 꼽았다.

그는 "오히려 '일지매'와 '최강칠우' 등 사극에서 입양아가 아픔을 딛고 밝고 건강하게 자라는 모습이 그려져 눈길을 끌었다"며 새로운 가족 구성원들이 인간적으로 소통하는 모습이 부각돼야한다고 강조했다.

(서울연합뉴스) 윤고은 기자 pretty@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