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점유율 27.5%로 역대 최고

LG전자가 여섯 분기 연속으로 세계 CDMA(코드분할 다중접속) 휴대전화 시장에서 1위를 달렸다.

특히 지난 2분기에는 사상 최고 점유율을 달성하는 등 독주체제를 갖춰나가고 있다.

20일 시장조사기관 스트래터지 애널리틱스(Strategy Analytics)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2분기 CDMA 휴대전화 시장은 4천620만 대 규모로 집계된 가운데 LG전자가 1천270만 대를 판매해 1위에 올랐다.

이로써 LG전자는 지난 해 1분기 이후 6개 분기 연속 세계 1위 자리를 지켰다.

LG전자는 특히 올해 1분기 25.9%였던 시장점유율을 2분기에는 27.5%까지 끌어올리며, 역대 최고 점유율을 달성했다.

1년 전인 2007년 2분기(점유율 18.1%)과 비교하면 1년새 무려 10%포인트 가까이 상승한 것이다.

삼성전자(판매량 820만 대, 점유율 17.7%)와 모토로라(510만 대, 11.0%)는 2분기 시장에서도 전분기와 마찬가지로 나란히 2, 3위를 차지했다.

중국업체인 화웨이는 170만 대(점유율 3.4%)를 판매해 4위로 순위권에 새롭게 진입했다.

이들 업체간 승패는 CDMA 휴대전화 시장의 절반에 육박하는 2천190만대 규모의 북미시장에서 갈렸다.

LG전자는 최대 시장인 북미에서 전체 판매량의 59.8%에 해당하는 760만 대를 판매해 34.7%의 점유율을 차지했다.

LG전자는 CDMA 시장 석권의 일등공신으로 다양한 터치폰 제품군을 꼽았다.

미국 애플의 '아이폰' 대항마로 평가받은 '보이저'와 '비너스'가 2분기까지 각각 130만 대와 100만 대가 판매됐고, '글리머' '밴티지' '뷰' 등 후속 터치폰들도 히트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또 140만 대가 넘는 판매고를 올린 '엔비2' 등 PC와 자판 배열이 같은 쿼티폰도 분기당 200만 대 이상 판매되는 등 상승세를 견인했다.

이밖에 대표적인 신흥시장인 인도에서는 '샤인폰' '뷰티폰' 등 프리미엄 제품 출시와 더불어 현지의 전력사정을 감안, 배터리 용량을 강화한 보급형 모델을 선보인 것도 글로벌 점유율 상승에 큰 역할을 한 것으로 LG전자는 분석했다.

한편 2분기 세계 휴대전화 시장은 총 2억9천730만 대로 집계됐으며, 1억9천530만 대 규모의 GSM(유럽형 이동통신) 휴대전화와 5천270만 대 규모의 3G(3세대) 휴대전화 분야에서는 노키아가 각각 48.3%와 39.3%의 점유율로 1위를 차지했다.

LG전자 안승권 MC사업본부장은 "앞으로도 고객 입장에서 구매할 만한 이유가 있는 제품, 고객 성향에 맞는 맞춤형 제품을 만들어 CDMA 휴대전화 시장에서 독보적인 시장지배력을 유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강영두 기자 k0279@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