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유가로 석유제품 소비가 줄어들었지만 가격을 묶어둔 전력과 액화천연가스(LNG) 소비는 오히려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6일 지식경제부에 따르면 올 들어 5월까지 총 에너지 소비는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4.3% 증가했다.

전력과 LNG 소비가 작년 같은 기간보다 각각 7.3%와 11.6% 늘어났기 때문이다.

전력의 경우 화훼 축산농가 등에서 경유 대신 전기로 난방하는 등의 사례가 늘면서 농업용 전력 소비 증가율이 9.3%로 특히 높았다.

벙커C유 대체 수요 증가로 산업용 LNG의 소비도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11.2%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달리 석유제품 소비는 3.5% 감소했다.

제품류별로 보면 휘발유(1.2%↑) 경유(2.8%↓) 등 수송용 수요의 감소는 미미한 데 비해 벙커C유(26.3%↓) 납사(1.6%↓) 등 산업용 수요는 큰 폭으로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LNG와 전력 소비 증가는 원가 부담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물가 안정 차원에서 가격을 동결함에 따라 석유제품 소비가 이동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정부는 올 상반기 민생 안정 대책의 일환으로 전기요금과 LNG요금을 동결하면서 이에 따른 한국전력과 가스공사 적자분 1조6000억원의 절반에 해당하는 보조금을 지급했다.

정부는 그러나 전기 및 가스요금 동결이 전체적인 에너지 소비를 오히려 늘리는 역효과를 내고 있다고 보고 하반기 중 요금 인상을 검토 중이다.

국제 유가 급등에 따른 한국전력과 가스공사의 원가 상승,요금 동결에 따른 적자 누적을 그대로 두기 어렵다는 판단에서다.

정부 관계자는 "하반기에도 국제 유가 급등에 따른 적자가 누적될 수 있고 가격이 현실화되지 않을 경우 자원 배분에도 왜곡이 생긴다"며 "현재 관련 부처가 올해와 내년의 요금체계 개편에 대해 협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재훈 지식경제부 2차관도 "전기 사용도 늘었지만 에너지 손실이 많은 2차 에너지,그 중에서도 LNG쪽 소비가 증가했다"며 "가격구조 왜곡 등으로 인해 벙커C유를 많이 쓰던 사람들이 천연가스나 전기를 쓰는 것으로 보이는 만큼 에너지 절약대책과 함께 가격구조 정상화 등도 추진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류시훈 기자 bad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