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유가로 교역조건이 크게 악화된 상황에서 경제성장세마저 급격히 꺾이면서 올해 소득지표들이 마이너스를 기록할 것으로 우려된다.

소득지표들은 2차 오일쇼크 때인 80년과 외환위기 직후인 98년에 각각 감소했을 뿐 그 외에는 증가세를 유지했다.

소득지표가 감소한다는 것은 국민들의 호주머니 사정이 1년간 더 나빠진다는 뜻으로 가뜩이나 위축된 내수를 더 침체시키는 요인이 된다.

2일 주요 경제연구소들에 따르면 올해 국내총소득(GDI)과 국민총소득(GNI) 등 소득지표들은 98년 이후로 10년만에 감소세로 돌아설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국내총소득(GDI)의 경우 경제성장률에 `교역조건 변화에 따른 실질 무역손익'을 반영해 산출하는데 올해 성장률은 4%대로 떨어질 것으로 보이지만, 고유가에 따른 교역조건 악화로 무역손실은 커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분기별로 보면 성장률은 1분기 5.8%에서 2분기 5%대 초반으로 급감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원유도입단가는 같은 기간 배럴당 90.8달러에서 110.0달러로 급등했다.

1분기 GDI가 작년 동기 대비로 0.2% 증가하는데 그쳤던 것을 감안하면 당장 2분기부터 마이너스 전환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국민총소득(GNI) 역시 1분기에는 1.3% 증가했지만 2분기에는 감소세가 예상된다.

지난 3월 비자카드가 뉴욕증시에 상장되면서 국내 회원사들이 11억7천만달러의 배당을 받은 요인 때문에 GNI가 GDI에 비해 이례적으로 높았지만 2분기에는 이러한 일회성 요인이 없는데다 대규모 배당이 지급됐기 때문에 더 낮아질 수도 있다는 분석이다.

임경묵 한국개발연구원 연구위원은 "성장률은 갈수록 낮아지고 교역조건은 더 악화하는 추세를 감안하면 올해 소득지표들이 일제히 마이너스를 기록할 가능성이 크다"며 "이는 국민의 실질 구매력이 줄었다는 것으로 체감경기가 극도로 안 좋다는 것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송태정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내부적으로 올해 소득지표가 `0%대' 증가율을 보일 것으로 보고 있다"며 "이는 소득이 사실상 제자리걸음을 한다는 것으로 체감경기를 더 악화하는 요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이준서 기자 jun@yna.co.kr